온라인 선거운동의 블랙박스를 열어 이제까지 진행된 모든 온라인 선거운동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알리고자 한다. 특히 지난 20년간 총 15회(대선 4회, 총선 6회, 지방선거 5회) 국가선거의 온라인 선거운동을 유형화하고 체계적인 이론 적용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차
서문
제1장 온라인 선거운동으로 민주주의가 바뀔 수 있을까 제1절 온라인 선거운동과 참여 이론 1. 온라인 정치참여는 왜 등장했는가 2. 왜 참여하는가 3. 어떤 기준으로 온라인 정치참여를 분석하는가 제2절 온라인 정치참여 유형 1. 정보제공형 참여 2. 대화형 참여 3. 결집형 참여 4. 의견제시형 참여 5. 기타 참여 유형
제2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미디어의 전환 제1절 이론틀: 미디어 효과론 1. 변화 가설 2. 정상화 가설 제2절 미디어 선거운동 1. 미디어 이용환경과 특징 2. 후보자의 능동적인 정보제공 3. 정당의 정보제공 제3절 미디어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미디어별 특성 반영 2. 쌍방향성과 대화 활성화 3. 전략적 미디어 이용 4. 적극적 대응
제3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행위자의 전환 제1절 이론틀: 네트워크론과 사회자본론 1. 네트워크론 2. 사회자본론 제2절 다양한 행위자의 온라인 선거운동 1. 네트워크 시민 2. 온라인 커뮤니티 3. 정치인 팬클럽 제3절 행위자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신뢰·평판의 위력과 집단 극화 2. 집단 지성 공중의 출현 3. 대안 결사체의 활성화
제4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의제의 전환 제1절 이론틀: 역의제설정이론 1. 의제설정이론 2. 역의제설정이론 제2절 선거에서의 역의제설정 1. 정치 팟캐스트와 표현의 민주화 2. 동영상 의제 생산: 소셜 TV와 유튜브 3. 온라인 토론을 통한 의제 형성 4. 낙천낙선운동 5. 투표 독려와 인증샷 캠페인 제3절 의제 전환의 특징과 쟁점 1. 민주적 의제설정의 위력 2. 정치의 문화적 소비와 감성 정치
제5장 온라인 선거운동과 제도의 전환 제1절 미디어별 규제 1. 홈페이지와 이메일 규제(2000년) 2. 인터넷 언론 규제(2004년) 3. UCC와 정치광고 규제(2007년, 제17대 대선) 4. 문자메시지 규제 5. 온라인 여론조사 규제 6. 트위터 규제(2010년) 7.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 완화 제2절 온라인 선거운동 규제의 특징과 쟁점 1. 목적, 대상, 범위, 기간, 내용 2. 개선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