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경인한일관계 연구총서 14권. '조선후기 통신사외교와 江戶通信', '통신사 연기와 대마도 역지통신 교섭', '대마도 역지통신 재교섭 과정과 譯官江戶派送論', '대마도 역지통신 시행', '1840년대 이후의 역지통신 교섭', '補論 통신사외교부터 수신사외교로의 전환'으로 구성되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序論
1. 문제 제기
2. 역지통신과 수신사 연구사
3. 연구방법론 및 논문구성
Ⅰ. 조선후기 통신사외교와 ‘江戶通信’
1. 대일 통신사외교와 대마도 문위행
2. ‘江戶通信’의 목적과 조선의 대마도 인식
3. 조일 양국의 통신사 개혁론
Ⅱ. 통신사 연기와 대마도 역지통신 교섭
1. 조선의 통신사 연기교섭 과정
2. 대마도 역지통신 교섭을 둘러싼 ‘江戶通信’ 논쟁
Ⅲ. 대마도 역지통신 재교섭 과정과 ‘譯官江戶派送論’
1. 조선의 역지통신 재교섭
2. 조선의 ‘譯官江戶派送論’과 기사약조 체결
Ⅳ. 대마도 역지통신 시행
1. 대마도 역지통신 준비과정과 접대 간소화
2. 강정절목 강정과 역지통신 시행
Ⅴ. 1840년대 이후의 역지통신 교섭
1. 대마도 역지통신 교섭과 조선의 연기론
2. 오사카 역지통신과 대마도 역지통신
Ⅵ. 補論 통신사외교부터 수신사외교로의 전환
1. 조선의 修信使파견 배경과 목적
2. 일본의 招待外交와 修信使 金綺秀
結論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