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과 성찰’ 제2호 <국가의 품격>은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품격’을 주제로 오늘날 우리 국가·사회가 새롭게 정립하고 추구해야 할 가치와 이상을 모색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았다. ‘품격’에 대한 논의는 양적 성장에만 몰두해왔던 가치관에 대한 반성과 사회의 진정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인문학적 깊이를 만들어내는 공론을 형성한다.
목차
품격, 사람답게 살 수 있는 희망의 원리 - 『담론과 성찰 』 제2집을 내면서
다원성의 경험과 성찰의식, 그리고 격의 문제 / 김우창, 김민웅 품격 있는 사회, 욕망으로부터 자유롭다 / 이광주 글 배운 사람 구실 참으로 어렵다 / 송재소 우리의 언어세계 가다듬기, 삶의 경외감 회복하기 / 김찬호 모국어 콘텐츠의 확충과 국가의 품격 높이기 / 박상익 사법정의는 자유와 인권을 약동시킨다 / 곽노현 이윤추구, 사회적 책임, 공동체의 행복 사이에서 / 백종국 21세기 국제정치와 품격 있는 한국외교 / 전재성 편향된 시각으로 세계시민이 될 수 없다 / 조홍식 종교의 길 예술의 길 더불어 살아가는 가치와 문화 / 조광호, 김언호 우리 정치의 품격을 위하여 / 김민웅
서가브라우징
(십대를 위한) 세계화 이야기 : 아빠와 함께 찾아가는 세계화 바로알기2011 / 앙드레 푸르상 글 ; 유정희 옮김 / 김영사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2017 / 지은이: 박주식, 장형철, 태혜숙, 윤지영, 위경혜, 이진형, 이영배, 전혜숙, 선영아, 박규택 / 앨피
혼종성 이후 = After hybridity2017 / 지은이: 박주식, 장형철, 태혜숙, 윤지영, 위경혜, 이진형, 이영배, 전혜숙, 선영아, 박규택 / 앨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