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동자원연구총서 서문 최현 5
공동자원의 섬 제주 1권 서문 정영신 9
제1부 공동자원론을 제창하며 21
제1장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최현 23
제2장 공동자원론의 쟁점과 한국 공동자원 연구의 과제 최현·따이싱셩 41
제3장 엘리너 오스트롬의 공동자원론을 넘어서
:자원관리 패러다임에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으로 정영신 80
제2부 땅 127
제4장 제주의 공동목장 : 공동자원으로서의 특징 최현 129
제5장 지도로 보는 제주도 공동목장 해체의 실태 김성훈 153
제6장 제주 마을공동목장 해체의 원인과 사회,생태적 귀결 윤순진 177
제7장 제주 마을공동목장의 재생 사례들 유병연 234
제3부 물 259
제8장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 : 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최현 261
제9장 공수에서 공동자원으로 : 제주 지하수의 먹는 샘물용 증산 논란을 중심으로 김선필 289
제10장 제주 용천수의 이용관행과 물 공동체 문경미 326
제11장 제주도 마을어장 관리제도의 변천 강경민 365
제4부 바람 409
제12장 제주의 바람은 누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최현·김선필 411
제13장 제주도 바람의 자본화에 저항하는 풍력자원 공유화운동 김동주 442
제14장 인문 공동자원으로서 ‘바람風, 希望’ : 한국학 전통에서 본 제주 바람 김치완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