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부 고려가요의 편사와 문학적 해석
<가시리>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1. 머리말
2. <가시리>의 편사 전과 후의 거리
1) 원 가요인 <가시리>의 세계
2) 궁중가악으로 수용될 때 삽입된 가사: 후렴구
3) 편사된 <가시리>의 세계
3. 맺음말
향 문화로 본 <滿殿春 別詞> 연구
1. 머리말
2. 고려시대의 향 문화
3. ‘麝香사향 각시’와 ‘藥약든 가삼’의 의미 분석을 통한 화자의 욕망
4. 맺음말
<西京別曲>의 창작배경을 통해 본 新 해석
1. 머리말
2. <서경별곡>의 창작 배경
3. <서경별곡>의 신 해석
1) 구애: 1연
2) 다짐과 촉구: 2연
3) 호소: 3연
4. 맺음말
<鄭瓜亭>의 編詞와 문학적 해석
1. 머리말
2. <정과정>의 창작과 편사과정
1) 원 가요 단계의 모색
2) 궁중가악으로의 편사과정
3. <정과정>의 편사 전과 후의 거리
1) 원 가요인 <정과정>의 세계
2) 첨사에 나타난 <정과정>의 세계
3) 편사된 <정과정>의 세계
4. <정과정>과 <만전춘 별사>의 공통삽입가요의 수용과 의미
1) 독립가요로서의 의미
2) <정과정> 속의 삽입가요
3) <만전춘 별사> 속의 삽입가요
5. 맺음말
<고려 차용가>의 형성과정 고찰
1. 머리말
2. <고려 처용가>의 생성배경
1) 문첩신(門帖神)으로서의 처용풍습과 무속신앙
2) 처용무의 전승과 활용
3. <고려 처용가>의 내용전개로 본 형성과정
1) 서사
2) 처용의 형상화
3) <처용가>와 처용설화의 수용과 변용
4. 맺음말
Ⅱ부 고려가요에 나타난 사랑과 욕망
<動動>의 한 해석-12월령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젓가락의 상징과 ‘므라삽노이다’의 의미
3. <동동>의 시간과 연정의 순환
4. 맺음말
<雙花店>의 구조를 통해 본 性的 욕망 과 그 의미
1. 머리말
2. <쌍화점>의 구조
1) 개별 연 안의 화자와 청자 – 성적 관계 사실과 성적 장소의 공개적 담론 형성
2) 전체 연 안의 화자와 청자 – 성적 욕망의 해소
3. 성적 욕망의 의미
4. 맺음말
<鄭石歌>의 소재의 의미와 구조로 본 사람과 그 한계
1. 머리말
2. <정석가>에 등장하는 소재의 의미
3. <정석가>의 구조로 본 사랑과 그 한계
4. 맺음말
<履霜曲>의 사랑과 그 한계
1. 머리말
2. <이상곡>의 제명(題名)과 작품의 성격
3. <이상곡>의 사랑과 그 한계
4. 맺음말
<靑山別曲>의 공간과 구조를 통해 본 현실인식
1. 머리말
2. <청산별곡>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와 화자의 태도
1) 靑山과 바다
2) 믈 아래와 에정지
3) <청산별곡>의 향유 공간과 그 의미
3. <청산별곡>의 구조와 현실인식
4. 맺음말
주석모음
참고문헌
찾아보기
문헌자료(영인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