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재단 연구총서 제414집으로,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역량중심 통일교육을 제안한다. 또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목표로 민족공동체적 북한관, 평화유지적 안보관, 지속가능발전 통일관, 자유민주주의적 통일국가관, 공존공영을 위한 세계관을 제시한다.
목차
I. 통일교육, 이대로 좋은가?
II. 통일교육, 어디로 가고 있는가? 1. 통일교육의 특징 1) 통일교육의 변화 2) 통일교육 내용 비교 3) 북한 관련 내용의 변화 2. 통일교육 연구의 특징 1) 관점의 다양성과 복잡성 2) 통일교육 연구 분석 3. 새로운 통일교육 모색을 위하여 1) 통일교육의 재해석 2) 새로운 통일교육을 위한 방법
III. 통일교육,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대상 1) 장기화된 분단, 새로운 세대 2)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 2. 세계시민을 위한 통일교육 1) 민족 개념의 재구성 2)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IV. 통일교육,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내용 1) 이중적 북한이해 2) 통일 당위성과 필요성의 근거 2. 사회정의를 위한 통일교육 1) 통일 합의 대상으로 북한 인식 2) 사회정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 통일교육,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1. 통일교육의 방법 1) 정치적 민감성 2) 지식 위주의 주입 2. 역량개발을 위한 통일교육 1) 사회 통합을 위한 감수성 개발 2) 역량중심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VI. 통일교육, 다문화 시대의 사회 통합을 위하여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스마트사회와 공동체 = Smart society & community : 휴머니즘 공동체와 스마트정보기술의 융합2016 / 김구 지음 / 대영문화사
사회주의, 생동하는 유토피아 : 저 너머를 향한 대담한 탐험2016 /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 윤태준 옮김 / 오월의봄
마이너리티 코뮌 = Minority commune : 동아시아 이방인이 듣고 쓰는 마을의 시공간2016 / 지음: 신지영 / 갈무리
책에 따라 살기 : 유리 로트만과 러시아 문화2014 / 김수환 지음 / 문학과지성사
대한민국 행복지도2016 / 지음: 망고 제인 안기르 [외] / 아시아
웨이 파인더 : 인류 최초의 지혜로 미래를 구하다2014 / 웨이드 데이비스 지음 ;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글로벌 코드 : 신인류 글로벌 부족은 어떻게 비즈니스 세상을 바꾸는가2016 / 클로테르 라파이유 지음 ; 박세연 옮김 / 리더스북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 다문화 시대와 한국의 사회통합2016 / 지음: 박성춘, 이슬기 [공] / 집문당
상징의 탄생 = (The)Birth of symbol : 600만 년에 걸친 초사회성 진화2017 / 지음: 박성현 / 심볼리쿠스
유럽중심주의 비판과 주변의 재인식2010 / 부산대학교 인문한국(HK) [고전번역+비교문화학 연구단]편 / 미다스북스
키워드 오덕학 : 자생형 한국산 2세대 오덕의 현재 기록2017 / 지음: 서찬휘 / 생각비행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2016 / 김성철 [외] 지음 / 나남
담배는 숭고하다 : 소멸되는 것들의 모든 아름다움2015 / 리처드 클라인 지음 ; 허창수 옮김 / 페이퍼로드
마이크로트렌드 : 세상의 룰을 바꾸는 특별한 1%의 법칙2008 / 마크 펜 ; 키니 잴리슨 지음 ; 안진환 ; 왕수민 옮김 / 해냄출판사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위한)한국사회 이해 : 심화2016 / 설규주 외 지음 / 한국이민재단
같이 빌린 책
다문화 사회와 한국 이민정책의 이해2015 / 지음: 김태환 / 집사재
세계사의 중심축이 이동한다 : 세상을 움직이는 힘, 부와 권력의 역사 2020 / 지음: 다마키 도시아키 ; 옮김: 서수지 / 사람과나무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