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동아시아 3국의 초기 금속활자 주조와 조판 기술을 다루고, 조선 초기 금속활자 인본과 계미자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17권이다.
목차
총론
1부 초기 금속활자의 주조와 조판 기술 금속활자 증도가자의 주조와 조판 연구 / 남권희 중국 초기 금속활자 조판 인쇄 기술 연구-상해도서관 소장 명대 난설당 인본 『백씨장경집』의 사례 / 츠언 쩡 홍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동활자 주조 기술과 그 검증 / 무네무라 이즈미 고려·조선의 철 주조 기술 연구 / 윤용현 신출 금속활자와 고려시대 서풍(書風) / 이완우
2부 조선 초기 금속활자 인본과 계미자 조선 초기 금속활자 인쇄와 중국본의 간행 / 옥영정 일본 현존 계미자 활자인본 『십칠사찬고금통요』권 11,12에 대하여 / 후지모토 유키오 계미자 번각본의 간행에 관한 분석적 연구 / 김성수 눌재 양성지의 서적 편찬과 간행 및 보존 활동 / 전경목 계미자 대·소자의 자형에 대한 연구 / 이승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