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펴내며
제1장 광주 in
사람
밥 딜런과 다니엘 바렌보임
작가 한강과 에딘버러, 그리고 국립한국문학관
천경자를 기억해야 할 이유
한국 서예의 총림, 학정(鶴亭)과 연우회(硯友會)
비운의 왕비에 대한 인간적인 해석
정동채의 종교순례 『봉정암에서 바티칸까지』
광주와 작가 황석영
한류 개척자의 고향방문 공연
광대 김명곤과 광주아리랑
역사의 들불, 박효선과 윤이상
광주와 다시 만난 시인 고은
무등산의 거인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포촘킨 파사드'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전당 주변 활성화 사업에 담겨야 할 정신
문화전당과 지역문화계와의 연계
문화전당, 지역과 소통이 관건이다
문화전당을 찾는 사람들
아시아문화전당에 바라는 두 가지
문화전당과 이웃 동네
전당에 필요한 진정한 ‘축제’의 정신
또 다른 '봄의 제전'을 꿈꾸며
아시아문화광장이 빛날 때
동아시아
동아시아문화도시에서 '문화의 달'을 만나다
한ㆍ중ㆍ일 동아시아 문화도시를 말한다
진정한 동아시아문화도시로 가는 길
동아시아 문화도시와 유럽 문화수도
동아시아 문화도시를 가다·중국 취안저우
다문화 자산으로 고대 번영 꿈꾸는 황하문명 발상지
방언ㆍ역사 등 독특한 민남문화 '세계화' 자부심 대단
개원사 동서탑ㆍ돌다리 뤄양교… 천년유물 품고 새 천년 도약
춤으로 소통한 2014 한ㆍ중ㆍ일 예술제를 가다
제2장 문화 in
공간
광주의 정체성을 찾는 도시재생
역사와 기억 그리고 예술의 역할
광주역사박물관, 성급하게 추진할 일 아니다
광주역사박물관, 제대로 만들어야
양림동의 기억과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의 재발견
역사문화공간, 양림에서 길을 묻다
내 마음속의 무등산
문화도시를 이끄는 창의적 문화공간
무등산과 스토리텔링의 힘
공연예술
광주프린지페스티벌, 광주의 정체성을 담아라!
위로와 감동을 주는 예술
풍암호수 음악축제를 꿈꾸면서
「핀란디아 찬가」와 「님을 위한 행진곡」
문화송년회 어때요?
미디어아트가 공연예술과 만날 때
시인(詩人)이 존경받는 사회
자신만의 스타일로 산다는 것
아리랑과 광주정신의 상통
스타가 있어야 관객이 있다
광주공연예술의 부활을 꿈꾸며
광주정신이 살아 있는 ‘페스티벌 오! 광주’
예술가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늦가을의 옛그림 단상
에딘버러로 가는 길
문화나무예술단을 아시나요?
광주브랜드공연의 글로벌화
에딘버러와 광주
광주브랜드공연의 자존심
정책
문학관 하나 없는 문화도시
지역문화융성, 그 방향은
문화광주 조성을 위한 제언
함께 만드는 상생의 길
누가 도시브랜드를 만드는가?
문화정책의 변화는 실천 속에서 존재한다
광주 공연예술의 부활을 위한 기회
문화기획자의 길
문화도시와 시민시장
영혼도서관의 자서전
이주민 문화는 소중한 문화자원이다
상생하는 문화교류의 길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문화나눔
문화기업, 문화CEO를 찾습니다
프리울리 모자이크와 광주
세계 속의 광주를 향한 쾌거
광주공동체의 꿈
청소년 문화교육은 공동체 성장의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