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인간 본성과 능력에 대한 근원적 물음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 앞으로 인간의 일은 무엇이고 그 일을 어떻게 해 나가야 하는지 자각하고, 그에 맞는 자세를 갖추기 위한 실질적 기준을 제시한다. ‘사회역사적 관계 맺기로서의 일’에 주목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1부 세상의 고통 苦 1 일자리라는 환상 2 계급사회의 도래 3 관료의식의 만연
2부 고통의 뿌리 集 1 관계의 상실, 무명 2 기준의 상실, 애욕 3 목적의 상실, 집착
3부 일철학 선언 滅 1 관계를 관계답게, 무잉여 선언 2 가치를 가치답게, 타당성 선언 3 존재를 존재답게, 투명성 선언
4부 시절의 물결 道 1 마지막 경쟁, 공공 2 인간의 재편, 품류 3 새로운 토대, 체계화
나오며 참고 기사
서가브라우징
신과 로봇: 우리가 지금껏 상상하지 못한 신화 이야기2020 / 에이드리엔 메이어 지음; 안인희 옮김 / 을유문화사
문명의 위기를 넘어 2022 / 공저: 유승직, 김선웅, 한상민, 이종철, 박정순, 이경구, 엄연석, 김세정, 강중기, 심혁주 / 학자원
삶에서 앎으로 앎에서 삶으로 : 앎이 곧 삶이 되는 옛사람의 공부법2019 / 문현선 지음 / 책과이음
세상의 모든 X : 인류의 문명사는 미지의 X를 밝히는 과정이었다 2020 / 문환구 지음 / 나무나무
이토록 재미난 집콕 독서2020 / 지음: 박균호 / 갈매나무
세대2020 / 박동수 외 지음 / 민음사
反기업 인문학 : 인문학은 어떻게 자본의 포로가 되었는가?2018 / 박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일철학 : 직업적 인간을 넘어 일이 있는 인간으로2016 / 박병원 지음 / 판미동
에세이 인문학 = Essay humanities : 고전 89편을 배경으로 하는 포항공대 박상준 교수의 인문 정신 편력2016 / 박상준 지음 / 케포이북스
랜선 인문학 여행 : 우리가 사랑하는 예술가들의 소울 플레이스를 동행하는 즐거움 2020 / 지음: 박소영 / 한겨레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