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그린비 사이 시리즈 11권. 이야기를 추구하고 즐기는 인간은 생물학적으로도, 최첨단의 인공지능으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독특한 존재이다. 인간은 이야기를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자기 존재의 정당성을 내면화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갈등에 대한 문제의 실마리를 찾기도 한다.
목차
머리말
1장·삶으로서의 이야기하기
1. 이야기하기와 경쟁
2. 뫼비우스의 심연 응시하기
3. 이야기 주체의 초월욕망과 서사 장
2장·어떤 죽음과 추리 경쟁
1. 자살인가? 타살인가?
2. 사건의 유효성과 ‘미궁’
3. 다원적 진술과 실존적 자살
4. 중층 구조와 정치적 타살
3장·놀이하는 인간
1. ‘놀이’와 기호학
2. ‘훔치기’와 아픈 성장의 비밀
3. 일탈과 유희의 ‘자위’
4. 기호학적 놀이와 생의 비의
4장·살아 있는 서사적 은유
1. 서사와 은유
2. 다중 이야기선과 ‘눈’의 메타성
3. 욕망 대상인 ‘강’과 낭만적 시선
4. ‘돈’과 ‘얼굴’이라는 은유
5. 1960년대의 감수성
5장·우울한 목소리, 환멸의 자의식
1. 재현으로서의 남성 우울증
2. ‘썩은 음부’에 대한 환멸과 불안
3. ‘아이’와 ‘도깨비’라는 환상
4. 상징적 강간과 훼손된 거래 윤리
5. 제도화된 타자로서의 ‘남성’
6장·훔쳐보며 젠더하기
1. 극사실적 묘사와 동성애
2. 오이디푸스적 욕망의 전유와 유동적 섹슈얼리티
3. 가학적 훔쳐보기와 분열증적 욕망
4. 차가운 렌즈의 시선과 나르시시즘적 섹슈얼리티
7장·트랜스휴먼의 목소리
1. 진화론과 인간 진화
2. 연금술적 기계인간: 『프랑켄슈타인』
3. 나노 우주 속 트랜스휴먼: <트랜센던스>
4. 인간 이후의 인간
8장·게임 사건과 규칙
1. 게임 서사학의 필요성
2. 우연적 사건이 내포한 필연성
3. 게임의 경쟁과 놀이 유흥성
4. 게이머의 욕망과 종결 의식
더 읽을 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