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의 ‘이단’ 논쟁은 그동안 주로 ‘실학’이라는 또 다른 프리즘을 통해 조선사회를 이해해보려는 학계의 시도에 덧붙여 ‘이단’에 대한 조선 성리학의 대응이라는 또 다른 거울로 조선시대 후기를 비추어보려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이단에 대한 유학의 문제의식과 그 흐름 1장 유교 정통론과 이단(이학) 비판 그리고 현대적 과제 1 종교, 욕망을 비추는 거울 2 정통과 이단 3 유교 정통론의 배경 4 맹자와 순자: 유교 정통론의 두 방향 5 경학과 순자의 부각 6 맹자인가, 순자인가? 7 북송 초의 유교 정통론: 맹자의 부각 8 주자의 정통론 완성 9 도통론의 정치-종교학적 의미 10 현대 신유학의 도통론 논의 11 왜 ‘정통/이단’을 논의하는가? 2장 조선시대 이단 담론과 영남 유학의 이단 비판론 1 조선시대 이단 비판의 유형과 전개 2 ‘이단’을 넘어 ‘외도’의 시대로 3 천주교와 영남학파 위상 사이의 함수 관계 4 조선후기 영남 지역 이단 비판론의 스펙트럼 5 『이학집변』, 영남 퇴계학파의 이단 비판론을 집대성하다 6 『이학집변』의 이단 비판의 사상사적 의의
2부 ·『이학집변』과 영남학파의 이단 인식 1장 도가 비판: 정학 수호를 위한 선택과 집중 전략 1 동아시아 사상사의 라이벌 2 유가와 도가, 그 길항 관계의 역사 3 유가와 도가의 갈림길 4 『이학집변』의 도가 비판의 내용과 논점 5 유학의 정체성 수호 6 새로운 ‘정학’의 자리 매기기 7 정주학에서 퇴계학으로, 퇴계학에서 호학으로 2장 육왕학 비판: 인간 완성의 길에 관한 유학 내부의 충돌 1 시대 상황이 환기시킨 ‘정통성’에의 관심 2 유학사에 나타난 정통 확립과 이단 배척 3 인간 완성의 길을 향한 주자와 육왕의 엇갈린 시선 4 인간 완성의 길을 둘러싼 『이학집변』의 비판적 시선 5 『이학집변』의 육왕학 비판의 의의 3장 선불교 비판: 이질적인 두 문화권 사상의 충돌과 변용 1 이질적인 두 문화권의 만남: 불교의 중국 전래 2 ‘불교’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문화 투쟁 3 주희의 유학사관과 불교 비판 4 『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의 기본적인 문제의식 5 『주자어류』의 석씨와 『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 6 『이학집변』의 선불교 비판 자료의 특징 7 『이학집변』 중 선불교 비판과 중용관 4장 서학(천주학) 비판: 영남학파의 서학 대응과 지식 권력 1 도통과 새로운 이단의 등장 2 서학의 확산과 남인을 향한 위협 3 서학을 둘러싼 성호학파의 토론과 갈등 4 실용을 향해: 서양의 자연학과 기술에 대한 기호남인의 이해 5 영남학파의 서학 비판 6 무엇이 진정한 학문인가: 성호학파의 서학관에 대한 영남학파의 비판 7 천주학에 대한 저격: 『이학집변』에서의 서학 비판 8 남인과 지적 권력의 자장
서가브라우징
조선의 역사를 지켜온 왕실여성 = Korean court ladies2014 / 신명호, 이미선, 김지영, 지두환, 한희숙, 임혜련, 김정희, 이민주, 정은임, 임민혁 지음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 글항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