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동차검사 실무 = Automotive inspection practice
발행연도 - 2017 / 공저: 이찬수, 황성일 / D.B.Info(복두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97871
-
ISBN
9791159062025
-
형태
275 p. 26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카테고리분류
과학/기술
>
과학의 이해
>
과학 일반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편
CHAPTER 1 자동차의 정의, 분류, 치수, 제원에 대하여
1. 자동차의 정의 (定義)
2. 자동차의 분류
3. 검사용어 설명
4. 자동차의 제원(Specification)
CHAPTER 2 자동차검사의 필요성과 종류
1. 자동차(自動車) 검사(檢査)의 필요성(必要性)
2. 자동차 검사의 종류
3. 가구·기구의 정밀도 검사
CHAPTER 3 검사대행자의 시설과 기술인력
1. 검사대행자의 지정
2. 검사 대행자의 시설과 기술인력
CHAPTER 4 튜닝(TUNING)의 범위
1. 튜닝의 규제완화
2. 튜닝 관련 법령
3. 2014년 달라진 튜닝제도
4. 승인이 필요한 튜닝 절차
5. 승인을 받아야 하는 튜닝(사례)
6. 승인 없이 변경할 수 있는 경미한 튜닝(사례)
7. 승인이 불가능한 불법튜닝(사례)
8. 튜닝승인 및 검사 수수료
제2편
CHAPTER 1 자동차 검사업무의 흐름과 검사 접수 및 안내
1. 자동차 종합검사의 개요
2. 자동차 종합검사 대상과 검사 주기
3. 종합검사 신청
4. 종합검사 흐름도
5. 종합검사의 진행
6. 종합검사 결과의 출력
7. 종합검사 준비
CHAPTER 2 자동차 검사 업무의 기준
1. 일반기준 및 방법
2. 신규검사 및 정기검사의 검사기준과 검사방법
제3편 [관능에 의한 검사]
CHAPTER 1 자동차의 동일성 및 제원확인 검사 기준 및 방법
1. 차대번호 및 원동기 형식에 의한 동일성 확인 검사기준 및 검사방법
2. 등록번호판 및 봉인에 의한 동일성 확인 검사기준 및 검사방법
3. 자동차의 제원 측정방법
4. 제원측정
5. 승차정원 측정
6. 최대 적재량 측정
7. 차량 총중량 측정
8. 길이·너비 등에 대한 특례 기준
9. 제원의 허용차
CHAPTER 2 원동기 및 동력전달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원동기의 검사
2. 동력전달장치
CHAPTER 3 자동차 주행 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주행장치
2. 타이어 규격 표기법 종류
CHAPTER 4 완충·연료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완충장치 검사
2. 연료장치(일반사항) 점검
3. 연료장치(액화석유가스 및 천연가스) 점검
CHAPTER 5 전기장치·차체와 차대·연결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전기장치
2. 차체 및 차대
3. 연결장치 및 견인장치
CHAPTER 6 승강장치·물품적재장치 및 창유리 검사 기준 및 방법
1. 승강장치(일반사항)
2. 승차장치(운전자의 좌석)
3. 승차장치(승객좌석의 규격)
4. 승차장치(머리지지대)
5. 승차장치(좌석안전띠장치 등)
6. 입석
7. 승강구
8. 비상구
9. 통로
10. 소화설비
11. 물품적재장치
12. 창유리
제4편 [관능 및 기기에 의한 검사]
CHAPTER 1 조종 및 조향장치 확인 검사기준 및 방법
1. 조종장치의 점검 및 검사 방법
2. 조향장치의 점검 및 검사 방법
CHAPTER 2 제동장치의 제동능력 검사 기준 및 방법
1. 검사 기준
2. 검사 방법
3. 제동장치의 모든 SYSTEM 점검
4. 제동장치 종류별 점검
5. 주차 제동장치
CHAPTER 3 시야확보 및 계기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시야확보장치의 검사 기준 및 방법
2. 계기장치의 검사 기준 및 방법
3. 기계식 속도제한장치
4. 전자식(ECU TYPE) 속도제한장치
CHAPTER 4 배기가스 발산장치, 소음방지장치, 경음기, 방화장치 및 내압용기 검사
1. 배기가스 발산방지장치(촉매)의 검사기준 및 방법
2. 소음방지장치(머플러)의 검사
3. 배기관의 검사
4. 배기소음 검사
5. 경음기 검사
6. 배출가스 검사
7. 경보장치(경광등 및 싸이렌)의 검사
8. 방화 장치의 검사
9. 내압용기의 검사
CHAPTER 5 등화장치 검사 기준 및 방법
1. 전조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2. 방전식 전구 전조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3. 조명가변형 전조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4. 안개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5. 바닥조명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6. 후퇴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7. 차폭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8. 번호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9. 후미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0. 제동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1. 승용자동차 보조 제동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2. 승합·화물·특수자동차 보조 제동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3. 방향지시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4. 비상점멸표시등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5. 후부반사기의 검사 기준 및 방법
16. 등화장치에 관련한 기타 검사 기준 및 방법
CHAPTER 6 미터기 검사(택시미터기의 사용점검)기준 및 방법
1. 검사법규
2. 택시미터 검정의 종류
3. 사용검정의 검사항목 및 검사방법
4. 택시미터의 주행검사 조건
5. 택시미터 주행검사의 세부 내용
6. 택시 미터 주행검사기의 점검
제5편 [자동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CHAPTER 1 자동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준비 및 장비교정
1. 검사 준비
2. 자동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장비
CHAPTER 2 자동차 배출가스 정밀검사 시행
1. ASM2525 모드
2. Lug-Down3 모드
3. 무부하 정지가동 모드
4. 무부하 급가속 모드
5. 자료 검색
6. 검사표 출력 및 교부 - (종합판정)
CHAPTER 3 경유자동차 부하검사 방법(KD-147 모드)
1. KD.147 모드의 도입 목적 및 배경
2. Lug.Down3 모드와 KD-147 모드의 비교
3. KD.147 모드 검사 시행
4. 자동차 배출가스 정밀 검사 각 모드 비교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2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