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시리즈 4권. ‘코미디’라는 이름 아래 재담이나 만담, 유머소설과 명랑소설, 코미디 영화와 드라마, 명랑만화와 ‘병맛’ 웹툰에 이르기까지 ‘수용자의 웃음을 유발하는 구조를 주축으로 하는 현대 서사물’을 폭넓게 논의한다.
목차
이 책을 내면서
제1부 총론: 웃음의 서사와 한국 대중문화 / 박유희
제1절 ‘웃음’을 둘러싼 문제들
제2절 웃음의 집단성과 대중문화
제3절 코미디의 매체와 유형
제4절 코미디의 시대성과 정치학
<코미디 관련 매체별 연구 현황>
제2부 근대 코미디의 연원과 토대
제1절 초기 소화(笑話)의 역사성과 그 성격 / 정환국
제2절 조선 전기 성 소화의 향유 양상과 존재 논리 / 강상순
제3절 조선 후기 서사의 웃음과 지역 공직사회 / 이주영
제4절 근대로의 전환과 웃음의 향방 / 김준형
제3부 근대적 웃음의 감각과 장르의 형성
제1절 식민지시기 유머소설에 나타난 스위트홈과 달콤쌉싸름한 웃음 / 이주라
제2절 식민지시기 ‘웃음의 감각’ 형성과 코미디(성)의 발현: 외화 코미디 수용을 중심으로 / 박선영
제3절 얄개들의 전성시대와 웃음의 수사학 / 조계숙
제4절 라디오 코미디 방송극의 형성과 변천 / 문선영
제4부 매체 헤게모니와 웃음의 정치학
제1절 만담의 발견과 웃음의 정치 / 이승희
제2절 왜 코미디인가: 1950년대 코미디 영화에 대한 소묘 / 오영숙
제3절 텔레비전 코미디 드라마의 형성: 1960년대 후반 유호의 연속극을 중심으로 / 이영미
제4절 1970년 전후 코미디 영화의 아이콘: 남자 식모에서 여자 운전사까지 / 송효정
제5부 코미디 장르의 분화와 혼성
제1절 명랑만화 유사(遺事) / 박인하
제2절 장기 흥행 코미디 연극의 존재론 / 김유미
제3절 2000년대 한국 코미디 영화 / 이현경
제4절 웹툰의 서사와 웃음 / 이수현
참고문헌
찾아보기
일러두기
저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