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장차 동북아시아에서 질서 재편이 추동될 때를 대비한 준비서며, 중국 동북지역을 찾는 사람들의 여행 안내서로, 중국 동북지역에서 행한 항일투쟁 등 한민족의 지난 역사를 이해하기 위한 참고서로, 나아가서 중국 동북지역의 지정학적 가치와 조선족 동포들의 지문화적 가치를 조명하는 지침서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중국 동북지역의 이모저모 1. 중국 동북지역의 범위와 행정구역의 변천 1) 범위와 명칭 2) 중국 행정구역의 변천 과정 3) 동북 3성의 행정체계 변화 4) 동북지역 지역별 특징 5) 연변지역 행정구역 변천 6) 연변지역 주요 지명의 유래와 변화 2. 중국 동북지역 질서에 영향 미친 주요 사건들 1) 청나라 건국과 봉금령 2)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조중변계조약 3) 러시아와 일본 간 역내 각축 4) 간도 일본총영사관과 조선인 5) 동북군벌과 관동군 6) 만주사변과 만주국 7) 소련군의 대일 선전포고와 국공내전 3. 중국 동북지역과 남북한과의 관계 1) 역내 한국인 거주 실태 2) 한국 지자체와 기업의 역내 진출 실태 3) 북한과 동북지역 경계로서 북중 접경지역 4) 북한과 중국 동북지역을 이어 주는 통로
제2부 중국 동북지역과 한민족의 관계 1. 역내 한민족 관련 역사 이해 1) 중국 동북지역 역사를 보는 시각 2) 한민족과 역내 국가들과의 관계 3) 한민족과 역내 북방민족과의 관계 4) 한민족의 강역이 한반도로 제한된 과정 2. 한민족의 중국 동북지역 이주 역사 1) 한민족의 동북지역 이주 역사 개관 2) 근대 이전 한민족의 이주 역사 3) 근대 이전 이주한 한민족 마을들 4) 근대 이후 한민족의 이주 역사 5) 탈냉전 이후 한민족의 이주 역사 3. 한민족의 동북지역 이주 과정과 생활상 1) 조선인의 동북지역 이주 배경 2) 용정에 조선인이 모이게 된 과정 3) 이주 초기 조선인의 토지 개간 과정 4) 독립운동 지원에 나선 조선인들 5) 북간도 교육문화의 중심지 용정
제3부 근대 이후 중국 동북지역에서 한민족의 삶 1. 항일 독립운동을 위한 투쟁의 삶 1) 항일 독립운동의 전개 과정 2) 독립운동 방략과 노선 갈등 3) 고국을 떠나 항일을 위한 기초를 다지다 4) 조직을 세워 독립운동에 앞장서다 5) 대의를 위해 독립운동단체 통합에 나서다 6) 3부 통합을 통해 새로운 정부를 꿈꾸다 2. 중국 동북지역 이주민으로서 개척의 삶 1) 먹고 살 길을 찾아 나선 생계형 이주자들 2) 다섯 가문이 개척한 명동촌 3) 지명·학교명에 나타난 민족의식 4) 동북지역 수전 개발의 주역 조선인들 3. 중국 동북지역에 산재해 있는 한민족의 자취 1)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명문가들 2) 남북한과 중국이 공히 공적 인정하는 사람들 3) 독립운동의 든든한 지원 세력 대종교도 4) 광복 후 질서 재편 과정서 겪어야 한 기구한 삶 5) 독립운동의 대의에 동참한 외국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