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서문
01. 공자 孔子 기원전 551-기원전 479
시대상황
인(仁)과 예(禮): 군자
인정(人政), 덕치(德治), 예치(禮治)
02. 석가모니와 불교 Gautama Siddhārtha 기원전 563?-기원전 483?
행복: 금생의 행복, 천상의 행복, 궁극적 행복
깨달음: 연기, 중도, 사성제, 팔정도
대승불교: 공(空), 보살 육바라밀
03. 노자 老子 기원전579?-기원전 499?
도(道): 스스로 그러함으로서의 자연(自然)
성인의 정치: 무위(無爲), 무사(無事), 무욕(無欲)
부드러움 (柔弱): 생명존중과 여성주의
04. 장자 莊子 기원전 355?-기원전 275?
소요(逍遙)와 제물(齊物): 전신적 해방과 평등
전생(全生)과 보진(寶進), 허(虛)와 심재(心齋)
덕충(德忠): 진인, 지인, 신인, 성인
05. 위정척사, 동학, 개화사상
시대 상황
위정척사
동학: 시천주(侍天主), 지기(至氣)
개화사상: ‘동도서기’와 변법개화
06. 아우구스티누스 Aulelius Augustinus 354-430
진리의 인식: 신(神)의 조명(照明)
선‧악: 자유의지의 문제
신의 나라와 지상의 나라
07.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225?-1274
철학과 신학의 관계: 신 존재 증명
자연적인 더과 종교적인 덕
영원한 법과 자연법
08. 베이컨 F. Bacon 1561-1626
자연과학의 발전과 ‘대혁신’
학문하는 새로운 방법:4대 우상의 파괴와 귀납법
과학 기술 이상사회: ‘새로운 아틀란티스’
09. 존 로크 John Locke1632-1704
시대적 배경 : 명예혁명
백지와 감각 경험
자연권(생명권, 자유권, 재산권), 저항권, 동의
10. 애덤 스미스 A. Smith 1723-1790
자연적 조화와 이신론
자애(自愛)와 공평무사한 관찰자
스토아 철학의 금욕주의
자애(自愛) 또는 자기 이익, 사회적 유용성
국가의 부의 본질: 보이지 않는 손, 완전한 자유의 체계
11. 스피노자 Benedict Spinoza 1632-1677
실체: 신 즉 자연
자유와 필연, 그리고 인식
자유: 정념의 상황을 넘어서
12. 칸트 I. Kant 1724-1804
선의지
도덕법칙: 정언명령 대 가언명령
자유와 목적의 왕국
13. 카를 마르크스 K. Marx 1818-1883
시대적 배경
『공산당 선언』: 계급투쟁으로서 역사, 소외 및 유물론
이데올로기와 지배 계급, 국가,
공상적 사회주의 대(對) 공산주의
14. Pragmatism:C. S. Peirce 1839-1914, W. James 1842-1910, J. Dewey 1859-1952
프래그머티즘: 진보 또는 성장
퍼스
제임스
듀이
15. 사르트르 J. P. Sartre, 1905-1980
사르트르 삶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인간: 자유로운 운명
16. 존 롤스 John Rawls, 1921-2002
사회의 기본 구조를 결정하는 ‘정의’
원초적 상황과 무지의 베일
평등한 자유의 원칙, 최소 수혜자 및 시회 균등의 원칙
자유와 정의 우선성의 축차적 서열 : 공리주의 비판
순수 절차적 정의관,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17. 로버트 노직 Robert Nozick 1938-2002
자유지상주의, 최소 국가: 최선의 국가
야경 국가: 국가의 작은 기능, 소유 권리론, 비정형적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