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현대시에서 가장 난해한 시로 꼽히는 <오감도>. 서울대학교 명예 교수이며, 단국대학교 석좌 교수로 재직 중인 권영민의 책으로, '<오감도>를 어떻게 볼 것인가?', '<오감도>를 위한 전주', '연작시 <오감도> 다시 보기', '<오감도>, 그 완성의 길'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1장 『오감도』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연작시 『오감도』
2. 이상과 『오감도』
3. 『오감도』의 의미
2장 『오감도』를 위한 전주(前奏)
1. 『조선과건축』의 일본어 시
2. 기하학적 상상력과 현대 문명의 인식
3. 연작시 『조감도』
4. 연작시 『삼차각설계도』
5. 연작시 『건축무한육면각체』
6. 일본어 시 뒤집어보기
3장. 연작시 『오감도』 다시 보기
1. 시제1호
2. 시제2호
3. 시제3호
4. 시제4호
5. 시제5호
6. 시제6호
7. 시제7호
8. 시제8호 해부
9. 시제9호 총구
10. 시제10호 나비
11. 시제11호
12. 시제12호
13. 시제13호
14. 시제14호
15. 시제15호
4장 『오감도』, 그 완성의 길
1. 『오감도』 혹은 이상의 운명
2. 이상과 구인회 시대
3. 연작시 『역단』
4. 연작시 『위독』
5. 『오감도』 연작의 완성, 혹은 새로운 과제
5장 『오감도』의 문학적 성격
1. 이상 문학과 한국적 모더니즘
2. 『오감도』와 연작으로서의 형식
3. ‘보는 시(visual poetry)’의 발견
4. 텍스트의 물질성 혹은 타이포그래피적 상상력
5. 메타언어와 패러디의 시학
6. 주체의 인식과 시 정신의 전환
부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