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산업의 당면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객관적이면서 전문적인 의견을 줄 수 있는 26명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수들을 멘토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모두 국내외 학계를 리드해 왔고, 활발한 산학협력 연구로 산업계의 현실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통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우리나라의 멘토들이다.
목차
발간에 부쳐 / 이건우[학장] 들어가는 말 / 이정동
PART 1 ‘창조적 축적’, 한국 산업의 미래를 여는 키워드 0. 창조적 축적 지향의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한다 / 이정동
PART 2 멘토들에게 길을 묻다 1. 선진국의 비밀은 제조업의 경쟁력에 있다 / 김태유 2. 축적된 경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지식을 구하라 / 김용환 3. 축적된 경험 없이는 프로젝트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없다 / 고현무 4. 교과서에 없는 것은 직접 경험하면서 배워야 한다 / 한종훈 5. 기술을 아는 CEO가 없다 / 신창수 6. 급속한 ICT 패러다임 변화의 물결 속에 한국이 잠기고 있다 / 이병기 7. 기초와 응용을 넘어선 제3의 지식, 아키텍처의 영역에 도전하라 / 박영준 8. 반도체, 7~8년 뒤가 문제다 / 이종호 9. 반도체의 성공 경험이 모든 사업에서 다 통하는 것은 아니다 / 황기웅 10. 시스템업체의 소재부품업체 수직계열화 방식은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 / 김형준 11.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는 시기가 있다. 놓치면 따라잡지 못한다 / 이창희 12. 시작부터 글로벌을 지향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무의미하다 / 차상균 13. 변화와 도전을 반기는 사회 분위기에서 혁신이 꽃핀다 / 서승우 14. 위험과 성과를 공유하는 파트너십형 산학협력이 필요하다 / 최만수 15. 기초가 없는 융합은 거짓말이다 / 현택환 16. 중견기업을 히든챔피언으로 만드는 감동 스토리를 써라 / 차국헌 17. 선진화된 사회시스템이 히든챔피언 기업을 만든다 / 박진우 18. 동북아 섬유클러스터로 통일을 대비하라 / 강태진 19. 뿌리산업에 첨단의 날개를 달아라 / 권동일 20. 벤처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에코시스템이 없다 / 박희재 21. 중국의 인재를 뽑고, 한국의 인재와 섞어 경쟁시켜라 / 설승기 22. 공대는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평가받아야 / 강신형 23.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전략을 왜곡시킨다 / 김승조 24. 수직계열 체제를 깨야 기계산업이 산다 / 주종남 25. 기술을 아는 사람이 중심에 있어야 일류기업이 된다 / 주한규 26. 기술로 승부하는 기업은 경험 축적 없이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 김민수
부록: 교수진 소개
서가브라우징
디레버리징= Deleveraging: 바젤3 세 번째 이야기2020 / 지음: 박홍기 / 좋은땅
리밸런싱 = Rebalancing : 2019년 이후의 경제 충격 현황에 관하여2018 / 지음: 박홍기 / 좋은땅
바젤3 모멘트 : 2018년 이후 자산시장 붕괴 현상에 관하여2017 / 지음: 박홍기 / 익두스
돈이 복사되는 가상자산 수업2022 / 지음: 반병현 / 생능북스
AI 경제: 로봇 시대의 일자리와 복지2020 / 지음: 로저 부틀; 옮김: 이경식 / 세종연구원
넥스트= Next2022 / 지음: 빈센트 / 경이로움
움직이는 미래 : Smart mobility2018 / 지음: 서울디자인연구소 ; , / 서울디자인재단
축적의 시간 =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Korea2015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음 / 지식노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