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초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학에서 처음 만나 강의를 같이 들었고, 강의실 밖에서 유학생으로 동고동락한 저자들이 공통의 전공인 매스미디어에 대한 각자의 체험과 기억과 생각을 풀어낸 책이다. 각자가 관심을 가졌던 매체를 중심으로 살아온 삶의 궤적과 체취가 묻어나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미디어 타임라인 위의 나 나의 삶을 휘감았던 두 소용돌이 미디어에 대한 1950년대의 기억 처음으로 재미를 붙였던 영화 라디오 라디오와 정치 4·19 혁명 라디오 오락 프로그램에 푹 빠졌던 까까머리 시절 흑백 텔레비전 첫 전자 미디어 세대? Fast Forward : 말단 기자 시절 텔레비전 방송 기술의 전환기 팀워크로 만드는 텔레비전 방송 뉴스 유신체제의 종말 서울의 봄 한 지붕 네 가족 다시, 타임라인 위에 서서
제2장 신문과 나: 어느 아날로그형 인간의 디지털 시대 분투기 내겐 엄청난 축복이었던 ‘메디슨 시절’ 왜 책이나 잡지에 고춧가루가 박혀 있었나? 『선데이서울』을 어떻게 구해서 읽었더라? ‘가성비’가 크게 떨어지는 신문 스크랩 수십 종의 신문을 정기 구독하던 시절 실명비판을 위한 인물 데이터베이스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의 삶 나에겐 책도 저널리즘이다 나만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자 “치어리더 강준만: 아, 내가 치어리더였다” 속도가 생명인 ‘빨리빨리 사회’에서 성찰은 가능한가? ‘증오 상업주의’에 대한 비판 “이정재 사진을 전지현 사진으로 바꾼 이유” 신문의 죽음과 나의 죽음
제3장 오디오파일의 영화 연구: 주이상스와 문화정치 오디오파일의 탄생 더스티 스프링필드와 주이상스 이데올로기에서 감성이론으로 맥락의 차이: 할리우드와 한국 영화 디지털 경제와 한국 영화 감성과 문화정치의 가능성
제4장 문화연구자의 미디어 운동 분투기 이론과 실천, 그 사이 대중 탓에 생긴 갈등 ‘미디어 생산자’를 만나다 시민들과 판을 벌이다 미디어 정책 참여
서가브라우징
2023 콘텐츠가 전부다2022 / 지음: 노가영, 김봉제, 이상협 / 미래의창
안녕? 나는 호모미디어쿠스야: 현직 기자가 들려주는 AI시대 미디어 수업2022 / 지음: 노진호 / 자음과모음
눈에 선하게: 세상을 글로 그려내는 사람들, 화면해설작가2022 / 지음: 권성아, 김은주, 이진희, 임현아, 홍미정 [공] / 사이드웨이
내러티브와 장르 : 미디어 분석의 핵심 개념들 2020 / 지음: 닉 레이시 ; 옮김: 임영호 / 산지니
분노 설계자들 : 알고리즘이 세상을 왜곡하는 방식에 대하여 2024 / 지음: 터바이어스 로즈-스톡웰 ; 옮김: 홍선영 / 시공사
프로필 사회2022 / 지음: 한스 게오로크 묄러, 폴 J. 담브로시오; 옮김: 김한슬기 / 생각이음
이상한 나라의 위험한 가짜뉴스: 가짜뉴스와 혐오, 사이버 폭력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법2022 / 지음: 마우로 무나포, 그림: 마르타 판탈레오, 옮김: 김지우 / 우리학교
미디어 숲에서 나를 돌아보다 : 미디어 연구자 4인의 체험기2016 / 이창근 외 지음 / 인물과사상사
페이스북은 어떻게 우리를 단절시키고 민주주의를 훼손하는가: 민주적·지성적 문화의 타락을 부추긴 세계 최강,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자의 신랄한 고발장2020 / 지음: 시바 바이디야나단; 옮김: 홍권희 / 아라크네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미디어 리터러시2023 / 지음: 박민영 , 오승현 / 북트리거
미디어, 종교로 상상하다 2023 / 지음: 박진규 / 컬처룩
랜선 사회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2023 / 지음: 에이미 S. 브루크먼 ; 옮김: 석혜미 / 한빛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