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방암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탐구하며, 그와 관련된 암과 질병에 대한 대략적인 내용을 다룬다. 이 연구 내용은 유방암의 완벽한 극복보다는, 미래에 유방암에 대한 더욱 종합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내용으로 볼 수 있다.
목차
추천사- 유방암의 요오드치료법
추천사- 유방암과 요오드
서문
1장 서론
2장 요오드
1. 요오드의 발견
2. 요오드의 근원
3. 살균제로서 요오드의 역할
4. 갑상선종과 요오드 결핍
5. 요오드와 갑상선
6. 자가 면역성 갑상선염
7. 진화과정에서의 요오드
8. 티록신
9. 핵의 형성
10. 요오드의 생체 내 다른 곳으로의 확산
11. 생체 내 요오드의 역할
12. 그 외에 추정되는 요오드의 다른 역할
13. 박테리아와 세포사멸의 관계
14. 소변을 통한 요오드의 배출
15. 일본인의 이주 연구
16. 위에서의 요오드의 다른 역할
17. 위의 살균제
18. 요오드와 음식 알레르기
19. 요오드와 자가면역질환
20. 지방에 용해되는 요오드의 성질
21. 자궁경부점액의 요오드
22. 요오드와 임신
23. 요오드와 태아의 발육
24. 일본 여성들의 낮은 선천성 결함과 출산기 전후 사망률
3장 갑상선과 갑상선 호르몬
1. 갑상선 호르몬 제제를 이용한 치료
2. 가벼운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특정 증상
3. 갑상선 치료의 목적
4. 방사성 요오드?
5. 변화의 이유
6. 어린 시절의 성적 학대 또는 공포심과 갑상선 호르몬 내성
7. 갑상선 호르몬 내성
8. 갑상선 호르몬 공포
9. 갑상선 호르몬 작용
10. 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4장 암
1. 유전자 변이와 암
2. 암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
3. 암의 복잡성
4. 암의 자연사
5. 발암성 자극제들
6. 클라크 박사의 발단 과정
7. 암 발생의 첫 번째 단계
8. 두 번째 단계: 상피내암종
9. 암 단계
10. 암 전이와 연결조직
11. 전암 상태 유발 요인
12. 암 예방에서 요오드의 역할
13. 이상성(두 개의 발생 단계를 갖는) 암
14. 암 전이를 막는 결합조직
15. 샘슨의 연구: 일본인들의 갑상선 속 상피내암종
16. 요오드와 염분(소금)의 운반 시스템
17. 질산염과 위암의 연관성
18. 위암에 대한 학설의 최근 동향
19. 샘슨 박사의 발견
5장 유방암
1. 유방의 일반적인 변화
2. 섬유낭종성 질환이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
3. 요오드와 섬유낭종성 질환
4. 상피내암종 치료를 위한 요오드 요법
5. 높은 요오드 복용량의 이점
6. 1950년대 이후 여성들의 소금 섭취량
7. 유방암에 관한 나의 경험
8. 사례 1: 심리적 이점
9. 사례 2: 유방의 비정형 증식증과 요오드
10. 사례 3: 상피내암종과 종양 주변 다른 병소
11. 사례 4: 피부에 붙은 유방암
12. 위험 요인
13. 위험한 유방암 집안내력
14. 생식적 요인과 유방암 위험
15. 일본인 이주민
16. 아이슬란드 사람들의 작은 갑상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