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문을 닦고 효도하는 길
공자
군자란?
꾸미는 말과 얼굴빛
내 탓
성실과 신의를 근본으로
효제는 인의 근본
유자와 종자
효의 근본
참으로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
학문 없는 사색
지극한 효성
덕행을 쌓고 나라르 다스리는 길
덕으로 이끌고 예로 다스리면
마음과 행동을 바르게
스승의 자격
군자와 소인의 행동
공자의 가르침
배우고 함께 생각해야
신의가 없으면
참다운 용기
역시 잘된 것은 아니다
공자의 정치관
예절을 지키며 어질게 사는 길
무엇으로 평가하겠는가
인에 뜻을 두면
지혜로운 사람
맹자
부귀와 빈천
도를 들어 깨달으면
부끄러워할 일
군자와 소인의 생각 차이
이익만 보고 행동하면
참으로 불쌍한 인생살이
부모를 섬기면서
기쁘고도 걱정되는것
함부로 말하지 않는 이유
단단히 죄고 단속하는 사람
덕이 있는 사람
물과 불보다 더 중요한 것
스승에게도 양보하지 마라
내가 하고 싶지 않은 일
몸과 마음을 닦으며 덕을 쌓는 길
수양의 지름길
부모가 살아 계시면
더디게 할 것과 재빠르게 할 것
스스로를 꾸짓는 사람
사이비 군자
요행이란 것
삶의 진리
참으로 아는 것
착하고 의롭게 사는 길
학문하는 세 가지 기본 원칙
올바른 사람이 되려면
옳지 않는 일이라면
의롭지 않으면
백이와 숙제
세 사람이 함께 길을 거르며
인으로 가는 길
사치와 검약
군자와 소인의 마음
단 한 사람뿐
보람되고 성실하게 사는 길
공손하면서 예가 없으면
논의하지 말아야 할 것
학문하는 길
용맹을 좋아하고 가난을 싫어하면
참되고 성실하여 믿음이 가는 사람
젊은 사람이 두렵다
스스로 고치지 않는다면
군자가 갖추어야 할 세 가지 덕
중국의 고대 성인들
주왕, 미자·기자·비간, 강태공, 관중
옳고 바르고 지혜롭게 사는 길
남의 아름다움을 도와
벗을 사귀는 도리
자신이 올바르면
군자와 소인의 어울림
섬기기는 쉬워도
인에 가까워지는 길
말과 용기
군자이면서 어질지 못한 사람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한다는 것
가난하고 부유하면서
총명하고 생각이 깊은 사람
나를 알아 준다면
말을 삼가며 실천하는 길
의리와 이익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말보다 행동을
품성이 좋아야 좋은 말
지혜있는 사람
자신을 죽여
먼 앞날을 걱정하지 않으며
남을 가볍게 꾸짓으면
세상에 남는 것
말을 잘한다고
교묘하게 꾸민 말은
공자의 수난
삼우, 삼묘, 삼건, 그리고 …
이로운 벗과 해로운 벗
이로운 즐거움과 해로운 즐거움
선한 일을 보며
군자가 두려워해야 할 일 세 가지
군자가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 일
여섯 가지 덕목
대장부와 졸장부
세상에 나서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