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세월호 참사 앞에서 문학이 내지른 한숨, 탄식, 절규를 간신히 따라 읽었던 흔적들을 묶은 책. 이 책 속에 쓰인 많은 글들은 "세월호의 충격 속에서 쓰여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밖에 작가/작품론, 계간평, 리뷰에 해당하는 글들도 모여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슬픔의 기억
세월호 참사 이후 1년, 그 참담한 시간들을 돌아보며
1. 차라리 절규
2. 불을 뿜는 세상의 입
3. 애도와 실천
4. 문학의 자리
5. 소설적 형상화의 도정
세월호 참사의 소설적 형상화
1. 소설의 자리
2. 선한 자들의 하나 되기
3. 누가 진짜 괴물인가?
4. 다른 사람들은 몰라
5. 현실과 문학의 거리
거대한 파국 이후를 산다는 것에 대한 물음
1. 애도의 시절
2.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나?
3. 나와 너, 그 이분법을 넘어
4. 그럼에도, 계속해보겠습니다.
5. 새로운 시작
과거 미래 그리고 현재
1. ‘실종된 성민이 아빠’
2. 성민=성민, 성민성민
3. 기억의 폭력성
4. 회한일까? 보람일까 그것도 아니면 단지 허무일까?
5. 해답이 아닌 질문
우리가 애꿎은 사람들에게 화를 내는 이유
애도의 (불)가능성과 슬픔의 공유 (불)가능성
기억의 윤리
1 .내면과 기억
2. 푸르른 틈새를 채우는 기억의 빛살
3. 현실의 논리가 아닌 애도의 윤리
4. 사람의 집, 토우의 집
5. 우울의 괴물적 형상
제2부 창조적인 정신의 기록
새로움의 새로움 | 박민규
1 .박민규라는 사건
2. 한층 구체화된 현실의 질감
3. 좁아지고 깊어진 우주적 상상력
4. 현자(賢者)의 탄생
상처받은 자들이여, 모두 내게로 오라 | 김서령
1. 애도의 백과사전
2. 우울증의 세계
3. 너는 내가 아는 너다
4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당신
5 .조촐한 위안과 연대, 그리고 말하기
푸른 유리 심장을 지닌 소설의 힘 | 양진채
1. 상상력의 힘
2 .외로움이 그려낸 나스카 라인
3. 생사를 넘나드는 독수리
4. 양진채 소설의 현주소
한국 소설에 나타난 복고의 가능성과 문제점 | 천명관
1 .지금은 복고시대
2. 약소자의 눈으로 바라본 1970~80년대
3. 최원정이라는 이름의 어머니
4. 무언가를 더 기대할 수 있다면……
작가의 탄생 | 김애란
1 .시대를 감각하는 소설
2. 개발의 악몽
3. 누가 청춘을 예찬하는가
4. 큐티클에 새겨진 계급
5. 가난의 영원회귀
6. 희망(?)
위선이여 안녕! | 이기호
1 .전진하는 작가
2. 고유성(존엄성)이 사라지는 풍경들
3. 위선이여 안녕!
4. 오타라는 숨구멍
뿌리 혹은 기원을 향한 갈망의 시학 | 이하언
1. 고유한 자기 세계의 탐구
2. 상처받은 자들의 이야기
3. 상처의 기원, 치유의 기원
4. 뿌리의 그늘
5. 참된 인간성 구현의 정도
‘처녀의 빨갛고 마알간 혀’와 키스하는 호랑이 | 윤후명
제3부 같다는 것, 다르다는 것
벽 | 하성란, 이신조, 구병모
1. 서로 다른 말을 하는 사람들
2. ‘다른’ 소년에서 다른 ‘소년’으로
3. G시와 O시 사이, 혹은 공동체와 공동체 사이
4. 벽을 쌓아가는 사회
텍스트와 텍스트 | 배상민, 이기호, 천정완
1. 상호텍스트성
2. 성경과「아담의 배꼽」
3.「육식동물」과「육식주의자」
4.「밀다원 시대」와「탐과 탐들의 시대-Remix 밀다원」
애도의 계절 | 전성태, 이순원, 구효서
1. 소설과 애도
2. 금보다 빛나는 석탄, 금보다 변치 않는 석탄
3. 아버지가 하늘을 나는 이유
4. 애도의 (불)가능성
현실의 세 가지 층위 | 황정은, 최정화, 최제훈
1. 처음 들려주는 이야기
2. 뭣도 아닌 고작 틀니 하나
3. 무한복제를 통한 휘발과 압사
4. 세 가지 현실
타인을 이해하는 세 가지 방식 | 강화길, 김희선, 김민정
1. 찾을 수 없는 굴 말리크의 유품
2. 지구라는 하나의 큰 꽃
3. ‘진봉≠사내’, ‘진봉=사내’의 상상력
4. 사람들은 관심 없는 이야기, 그러나 써야 할 이야기
손과 엉덩이 | 김훈, 신혜진
1. 손의 등장
2. 엉덩이로만 존재하는 남자들
3. 손과 엉덩이
아이러니의 세 가지 표정 | 김이설, 정지아, 김금희
1. 아름다운 것들의 특별한 날
2. 속물과 동물도 아닌 그 이름, 자폐가족
3. 댓가를 바라고 준 김치 쪼가리와 밥 덩어리
4. 아이러니의 계절
그대와 나 | 윤고은, 정이현, 윤이형
1. 상처와 상처
2. 그냥, 메이
3. 신이 되어 버린 루카
4. 애버리진, 소녀, 퀴어
사건의 습격 | 권여선, 손흥규, 정소현
1. 진짜 기억과 덮개 기억
2. ‘먹고사느라고’ 살인자가 된 아버지
3. 행복한 상현씨
4. ‘사건’을 바라보는 세 가지 방식
제4부 파국 이후
세 개의 닫혀진 문 열기
1. 상처의 문학
2. 엄마 혹은 고향
3. 이숙, 고립된 실존의 방
4. 희재, 쪽방의 상처
5. 우울증의 윤리
잘린 혀들의 나라
1. 북송 교포들의 잘린 혀
2. 탈북자들의 북한 형상화
3. 맹목과 인용을 넘어
가족의 빛과 그림자
1. 사랑이 꽃피는 나무
2. 구성적 외부로서의 홀
3. 증여와 교환
너 자신을 증명하라 펼처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