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과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가 학술교류협정을 맺고 추진한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 국내외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였으며, 현행 검정 역사교과서와는 별도로 중등학교에서 역사 부교재 및 역사학습 보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전근대 제1장 선사시대 1. 우리는 모두 단군 할아버지의 후손일까 2. 그들은 왜 여기 잠들어 있을까 3. 철의 길을 따라서 4. 신화가 말해주는 공존의 세계 5. 세계를 품은 고인돌 제2장 삼국시대 1. 삼국과 가야에 들어온 낯선 사람들 2. 놀이와 흥 속에 담긴 여러 갈래 문화 3. 일상에 스며든 다양한 종교와 사상 4. 옷과 멋으로 보는 문화 제3장 통일신라 1. 신라를 넘어 더 넓은 세계로 2. 신라 안의 해상왕국 3. 신라가 만난 이슬람 4. 섞임의 흔적, 풍부한 문화 제4장 발해 1. 문화 융합으로 태어난 발해 2. 동아시아의 용광로, 발해문화 제5장 고려시대 1. 고려 사회에 녹아내린 귀화인 2. 고려의 문화 속에 남아있는 다문화 3. 외국인과 함께 어우러지는 고려사회 4. 우리 문화 속에 남겨진 몽골의 흔적 제6장 조선시대 1. 교류와 소통의 길잡이, 역관 2. 조선을 찾아온 사람들 3. 뜻하지 않게 낯선 세상을 체험한 사람들 - 표류자들 4. 조선인들의 눈에 비친 세계 5. 낯선 음식, 조선을 사로잡다 6. 서학의 수용
제2부 근현대 제7장 개항기-대한제국기 1. 새로운 세계와 사람들 2. 새로운 세계와 문물 3. 새로운 세계가 만든 공간 제8장 일제강점기 1. 의식주에 스며든 일본문화와 서양문화 2. “경성”시절 서울의 모습 3. 우리말 속에 남아 있는 일본말 4. 일제강점기 속 한국인 – 일본인 결혼 제9장 해방 이후 1. 광복 이후, 미국 문화 유입의 시작 2. 점차 다양해지는 대중문화 3. 빠르게 변화하는 생활양식 4. 세계로 나간 한국인 노동자, 한국으로 들어온 외국인 노동자 제10장 한국사회와 다문화 1.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2. 다문화 정책과 법 3.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 4. 다문화 사회통합 제11장 한국사회와 반다문화 담론 1. 반다문화 담론의 출현 2. 반다문화주의의 주요 내용 3. 반다문화주의 담론의 구성방식과 그 문제점
제3부 보론 서울 속 지구촌, 이태원의 어제와 오늘 1. 이태원의 역사 2. 서울 속의 지구촌 한국의 귀화 성씨와 다문화 1. 나의 뿌리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 2. 다문화 시대, 귀화인에 대한 포용과 공존
참고문헌
서가브라우징
한국 역사. 1, 전통편2020 / 김경호 외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1, 선사 시대에서 삼국 시대까지2022 / 지음: 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박은화 / 더숲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2, 남북국 시대에서 고려 시대까지 2022 / 지음: 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박은화 / 더숲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 조선 시대 전기 2022 / 지음: 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공명진, 김태규, 윤경수, 이인용 / 더숲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4, 조선 시대 후기 2022 / 지음: 공명진, 김태규, 윤경수(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 더숲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5, 조선의 근대화와 열강의 침입 2022 / 지음: 박은화(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 더숲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6, 일제 강점기에서 대한민국의 현재까지 2022 / 지음: 박은화(재밌는이야기역사모임) / 더숲
한국사 속의 다문화 : 청소년을 위한 다문화 대안 역사교과서2016 / 강명주 외 [집필] / 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