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박재규
제1장 분단구조의 역사적 기원과 형성 / 심지연
1. 머리말
2. 분단구조의 역사적 기원
1) 독립운동과 좌우 대립
2) 해방과 미ㆍ소 양군의 진주
3) 좌우의 갈등과 미ㆍ소 양국의 대립
3. 정권기관 수립과 분단구조 형성
1)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창설
2) 남조선 과도정부 수립
3) 남북한 단독정부 수립
4. 한국전쟁 발발과 분단 고착
5. 맺음말
제2장 남북한 관계의 역사적 맥락 - 한국전쟁 이후 현재까지 / 고병철
1. 머리말
2. 대결과 경쟁, 1653∼1970
3. 대화, 남북 공동성명, 1971∼1973
4. 대결, 대화, 충돌, 1973∼1990
5. 고위급회담, 기본합의서 및 비핵화선언, 1991∼1992
6. 제1의 북한 핵위기, 제네바 합의문 조인, 1993∼1994
7. 경수로사업, 북의 식량난과 남의 인도적 지원, 1995∼1999
8. 정상회담, 화해ㆍ협력의 가속화, 2000∼2001
9. 제2의 북한 핵위기, 2002∼2003
10. 맺는 말
제3장 남북한 관계의 이론들 - 분류와 비판 / 구갑우
1. 서론
2. 남북한 관계의 연구 방법: 이론의 분류
1) 제1범주: 국가 대 국가의 관계
2) 제2범주: 민족 내부의 특수관계
3) 소결
3. 남북한 관계의 기존 이론들
1) 국제관계학의 현실주의
2) 국제관계학의 자유주의
3) 국제관계학의 구성주의
4) 분단체제론
5) 특수관계론과 남북한 비교정치론
6) 분단질서론
4. 비판과 대안: 역사주의적 시각
5. 이론의 규범적 차원: 결론에 대신하여
제4장 남북한 관계의 특성 - 과도기의 이중성 / 김근식
1. 서론: 남북관계의 과도기
2. 남북한 관계의 특성: 이중성
1) 구성원의 의식: 적성(敵性)과 동포애의 이중성
2) 당국 간 행태: 적대관계와 협력관계의 이중성
3) 국제법적 측면: 잠정적 특수관계의 이중성
3. 독일의 경험
1) 동서독의 화해 협력 과정
2) 동서독과 남북한의 비교 및 함의
4. 결론에 대신하여
제5장 탈냉전기 국제 환경과 남북한 관계 / 이수훈
1. 서론
2. 남북한을 둘러싼 국제 환경
1) 미국에 의한 패권적 지배 국면
2)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질서 변화
3) 러시아의 수습과 동북아
4) 일본의 경제력과 북한
3. 동북아 시대의 개막
4. 동북아 다자주의와 남북한 관계
5. '남북한 관계'를 넘어
제6장 남북한 관계와 남한의 국내정치 - 북한 요인과 국내정치의 연관과 분석 틀 / 신종대
1. 서론
2. 북한 요인과 국내정치의 연관구조와 분석 틀
1) 방법론적 전제
2) 분석 틀과 연관구조
3. 남한 국내정치의 북한 요인
1) 냉전ㆍ권위주의 시기
2) 탈냉전ㆍ민주화 이후 시기
4. 결론
제7장 남북한 관계와 북한의 국내정치 - 남한 요인은 결정적 변수인가? / 류길재
1. 서론
2. 남한 요인의 조작화
3. 북한 정치와 남한 요인
4. 결혼
제8장 남북한 군비 경쟁과 군축 전망 / 함택영
1. 서론
2. 남북한의 군비 경쟁
3. 남북한 군비 경쟁의 특징
1) 군비 경쟁의 대외적ㆍ대내적 원인
2) 군비 경쟁과 남북한 '위협의 균형'
4. 남북한 군축ㆍ군비 통제 전망
1) 남북한의 군축 제안
2) 군비 통제ㆍ군축의 가능성 및 예상 방향
5. 결론 및 정책 제언
제9장 남북한 경제관계의 오늘과 내일 / 양문수
1. 머리말
2. 남북한 경제관계의 기초적 개념
1) 남북 경제공동체
2) 남북 경제 교류ㆍ협력의 제 범주
3) 남북 경제 교류ㆍ협력의 의미
3. 남북한 경제관계의 현황과 평가
1) 역사적 개관
2) 현황
3) 평가
4. 최근의 환경 변화와 남북한 경제관계에 대한 인식 재정립 필요성
1) 한반도 평화와 남북경협
2) 북한의 경제개혁과 남북경협
3) 동북아 경제 질서의 재편과 남북한 경제관계
5. 남북한 경제관계의 과제: 남한 정부의 역할
1) 남한 정부의 대북 개발원조
2) 남북 경제협력과 동북아 경제협력의 연계
3) 단기적 과제
6. 맺음말
제10장 남북한 협상 행태 / 양무진
1. 머리말
2. 협상 행태의 이론적 이해
1) 협상의 개념
2) 협상의 유형
3) 협상의 전략
4) 협상의 전술
3. 남북한 협상 행태
1) 대화 있는 대결: 남북조절위원회 회의
2) 남과 북, 미국과의 삼각 게임: 남북 고위급회담
3) 포용과 생존의 대화: 남북 장관급회담
4. 남북협상의 성격과 특징
5. 맺음말
제11장 남북한 관계의 전망과 과제 / 최완규
1. 서론
2. 정상회담 이후의 남북관계
3. 남북한 관계의 과제와 전망: 공동이익 가능 영역의 확대를 통한 평화 공존 모델의 모색
1) 남측의 연합제
2)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3) 새로운 평화공존 모델: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의 수렴은 가능한가?
4.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