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Prologue:호모 루덴스의 노동과 놀이의 경계 지적 노동과 지적 놀이의 비극적 한계
Ⅰ. 호모 루덴스 (Homo Rudens)
1. 기호와 변전(變轉)의 미학
박상순, 『6은 나무 7은 돌고래』
2. 집착을 초월한 자유와 실존에 대한 물음
박남철, 박찬일 ; 초기화 될 수 없는 실존과 절망의 언어들
3. 시의 미적거리와 이미지의 형상화
심언주, 마경덕, 김성대 ; 심미적 거리두기와 시적 자유
4. 부존재증명을 위한 관찰자의 눈
염민기와 김제욱 ; 관찰자로서의 시선과 사유의 세계
5. 예술성과 대중성의 경계
조민, 오늘, 윤관영 ; 빛깔이 같은 시인들의 시선
Ⅱ. 호모 테이스트쿠스 (Homo Tastecus)
1. 문명과 야생의 경계
송찬호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2. 진정한 활과 리라의 시 정신
유종인 시의 자유를 닮은 시적 촉수
3. 묘사와 진술, 리듬의 미학
김두안 시의 진정성과 생명력
4. 시인, 아폴론의 후예들
따로 또 같이 빛나는 시인들; 장석주, 문태준, 이대흠, 손택수, 정원숙의 시
5. 감각과 감성의 미적세계
류인서, 박라연의 시를 체험하는 두 가지 방식
Ⅲ. 호모 스피리투스 (Homo Spiritus)
1. 비극적 환상성과 존재의 시학
김성규, 『너는 잘못 날아왔다』
2. 현실과 비현실 그리고 환상적 은유
차창룡과 이효인 ;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일상의 문
3. 삶과 죽음의 세리머니
조동범 시집 『카니발』
4. 고통과 슬픔을 응시하는 특별한 시선
정다혜의 『스피노자의 안경』
Ⅳ. 호모 파베르 (Homo Faber)
1. 동화 비평/ 안데르센, 『치통아줌마』
‘나’의 시인되기 꿈과 치통의 치환
2. 희곡 단평/ 장창호, 『ㅅㄹㅎ』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희극과 비극
3. 영화 서평/ 윤제균, 《국제시장》
그 흔한 소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4. 방문 인터뷰/ ‘옹기와 자기, 詩를 만나다’
헤이리 ‘한향림 갤러리’에서
Epilogue: 문학이 일상 속에서 놀이가 된다면 디지털 시대의 문학과 다양한 콘텐츠(게임, 오락,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