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에필로그를 대신하여
국가폭력 그 어둠을 넘어
차 안에서 아이템을 줍다
고문 - 인류의 역병, 인권의 무덤
5월 관련 고문피해자들
간첩, 못 잡으면 만들어라!
고문은 영혼마저 파괴한다
가난과 가족 해체의 원흉, 고문
덴마크, 고문피해자들의 안식처
코펜하겐에서 있었던 일
반면교사, 독일
파리에서의 반나절
아파르트헤이트와 그 치유과정
방송, 그리고 남은 이야기들
조창원의 소록도 연가
소록도와 나
소록도와 조창원 원장
오마도 간척사업
소록도 축구단
땅을 빼앗기고
다시 소록도로
에필로그
그 섬에 간 사람들
독도의 이름을 전라도 사람이 붙여줬다고?
이규원의 『울릉도 검찰일기』
검찰사 일행의 역정을 따라서
멀고도 먼 독도
거문도/초도에 남은 울릉도, 독도의 흔적들
울릉도/독도에 새겨진 호남인의 발자취
수성(水性) 호남인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 땅
내 친구 병규
다시 만난 병규
춘래불사춘, 서울의 봄
5월 광주와 나
병규, 항쟁에 나서다
도청 5월 27일 새벽, 꽃잎 지다
어머니와 경순, 투쟁의 선봉에 서다
5·18 부부의 탄생
방송 후기
영상기록 - 하늘에서 본 남도
장기 기획 프로젝트를 맡다
준비
촬영
포스트 프로덕션
봄 - 꽃 대궐, 남도
여름 - 남도, 시련을 딛고 다시 일어서다
가을 - 결실, 남도
겨울 - 남도, 다시 봄을 준비하다
추석특집 하늘에서 본 남도
남은 이야기들
흥부야 나와라
흥부와의 만남
제1부_ 왜 다시 흥부인가?
놀부 전성시대
흥부의 고향을 찾아서
흥부와 놀부 중 누가 21세기에 어울리는 인간형인가?
흥부와 놀부, 학계를 뜨겁게 달구다
흥부 비판과 그 반론
놀부 옹호론과 그 비판
제2부_ 우리 시대의 흥부들
무소유와 나눔의 인간형 흥부
창조, 혁신의 인간형 흥부
환경인 흥부
정보인 흥부
화해와 평화의 인간형 흥부
흥부야 빨리 나와라
뮤직 다큐 - 5월의 노래
학살
5월의 노래·3
전진하는 5월
목련이 진들
5월의 노래·1
5월의 노래·2
임을 위한 행진곡
광주천
한다
5·18
광주여 무등산이여
박기동의 다시 찾은 노래 「부용산」
노래 「부용산」과의 재회
시인 박기동을 만나다
동생 영애의 죽음과 시(詩)의 탄생
노래 「부용산」의 탄생
노래 한 곡 때문에
호주 생활
되살아나는 노래 「부용산」
에필로그
박기동의 귀향
재회
귀국
벌교
생식촌
광주
목포
그 후
소리를 얻다 득음(得音)
임방울 국악제
득음, 그 모질고도 아름다운 세계
좋은 소리는 곰삭은 소리
독공
제와 바디, 더늠
소리꾼들에게 힘찬 추임새를
서커스의 재발견
제1부_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동춘서커스단의 탄생
한국 서커스의 몰락
한국 서커스의 회생방안
제2부_ 세계 서커스의 강국들
캐나다의 ‘서크 엘루아즈’
중국의 ‘오교서커스월드’
헝가리국립서커스단
김덕령과 정탁, 그 아름다운 만남
약포 정탁의 상소문
무등의 아들 김덕령
임진왜란과 의병대장 김덕령
김덕령의 죽음
정유재란·충장공 김덕령 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