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전하는 22개의 입양 이야기. 2007년에 딸 소린이를 입양한 저자는 여느 입양 부모와 마찬가지로 무수한 고민에 휩싸였다. 그리고 생업을 뒤로하고 취재 여행길에 올랐다. 입양과 관련된 수많은 사람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궁금한 것을 묻고, 사진을 찍고, 글로 정리했다.
목차
감사의 글 프롤로그 / 내 딸 소린이가 준 선물
나 홀로 엄마가 되다 ―스물다섯 미혼모 유미 씨의 고백 남자 친구가 원치 않아요 ―입양을 선택한 두 미혼모 경미, 은영 씨 결핍된 사랑을 함께 채우다 ―대한사회복지회 박성희 부산지부장 헬멧 쓴 아기인데 입양하시겠어요? ―공개입양 가족 레아네 오랜 기다림, 너를 만나기 위한 준비 ―입양 확정까지 1년을 기다린 서연이네 미안하다 아가야, 우리 또 만나자 ―주사랑공동체 이종락 목사 날 낳아준 엄마는 얼마나 슬펐을까? ―공개입양 가족 희은이네 특별하지 않은, 다른 방식의 가족 ―공개입양 가족 하은이네 공개입양은 아이를 위한 예방주사 ―홀트 한사랑회 신용운 회장 17년 만에 밝혀진 비밀 ―비밀입양으로 자란 이영선 씨 입양은 결국 사랑이고 용서였어요 ―성인 입양인 박요한 씨 포기만 하지 않으면 관계는 이어진다 ―연장아 입양 전문가 서경대 신혜원 교수 엄마가 나를 가슴으로 낳았지? ―공개입양 가족 은영이네 다른 애 엄마 아니야, 혜주 엄마야 ―연장아 입양 차성수·유현미 씨 시설에 있는 아이들이 눈에 밟혔죠 ―중앙입양원 신언항 원장 왜 한국 사람들은 입양을 안 할까? ―한국입양홍보회 설립자 스티브 모리슨 7년 만에 나타난 내 아이의 엄마 ―개방입양을 경험한 김의남·권향숙 씨 나의 뿌리를 확인하는 과정 ―이화영아원 강은숙 원장 다섯 명의 가족, 다섯 개의 사랑 ―장애입양 가족 윤경이네 편견의 벽을 넘어 새 삶을 찾다 ―공개입양 가족 정호네 태몽도 대신 꿔주는 삼신할머니 ―동방사회복지회 최정희 소장 아들을 잃고 다시 얻은 사랑 ―슬픔 딛고 아이 셋 입양한 강명순 씨
에필로그 / 힘겨워도 사랑
서가브라우징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 2024 / 지음: 김원영 / 문학동네
마음 장애인은 아닙니다: 불편하지만 살아가고 있습니다2020 / 이진행 지음 / 가갸날
우리에 관하여: 장애를 가지고 산다는 것2021 / 피터 카타파노, 로즈마리 갈랜드-톰슨 지음; 공마리아, 김준수, 이미란 옮김 / 해리북스
한국의 노숙인 : 그 삶을 이해한다는 것2013 / 구인회 ; 정근식 ; 신명호 공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길리언 = Gillian2016 / 글: 김태현 ; 그림: 신웅 / 시각문학사
빈민법의 겉과 속 : 근대 영국의 빈민 정책과 빈민의 삶2016 / 김종일 지음 / 울력
오늘의 청소년, 그들은 누구인가? = Korean youth who they are : 청소년복지론2012 / 김영화 ; 최영진 공저 / 정민사
세상의 모든 소린이에게 : 사랑의 시작, 입양을 인터뷰하다2016 / 김지영 지음 / 오마이북
입양 : 특별하고도 평범한 입양가족의 아름다운 이야기2017 / 지은이: 박형민 외 38인 / 중앙입양원
인종간 입양의 사회학 : 이식된 삶에 대한 당사자들의 목소리2012 / 글: 토비아스 휘비네트 외 29인 ; 엮음: 제인 정 트렌카 ; 줄리아 치니에르 오패러 ; 선영 신 ; 옮김: 뿌리의집 / 뿌리의집
실버타운 올가이드 : 100세 시대 최고의 노후 주거지 2022 / 지음: 공빠, 공마 / 한국경제신문
대한민국 시니어 리포트 20142014 / 교보생명 ; 시니어파트너즈 공저 / 교보문고
노인복지상담 = Welfare counseling for the elderly2013 / 김미령 외 공저 ; 한국노년학포럼 엮음 / 공동체
노인복지론 2021 / 박창체, 최희경 지음 / 창지사
노인복지론 = Social work with the elderly2013 / 안홍순 저 /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