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저자의 삶의 이력서에는 고시 합격, 검사, 감사원장 같은 '양지'가 보이지만, 연보에는 그와는 전혀 다른 가난과 고생, '재수'까지한 감옥 살이, 여러 해에 걸친 실업자 생활 등의 '음지'가 짙다. 음지 속에서 정신적으로 더 많은 깨달음을 얻었다는 저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2009년 정초부터 5월 초까지 <한겨레>에 '한승헌의 사랑방 증언'이란 제목으로 연재한 글을 보완, 가필하여 엮었다.
목차
머리말 세상과 나, 빛과 어둠의 엇갈림 속에서
1. 내 삶의 부감도와 학창시절
'산민(山民)'에 담긴 뜻
제4지망과 세상 바람
내 삶의 첫 무대
초등학교 시절
농촌의 어린 나무꾼, '도벌 선배'
중학교 입학, 고학의 시작
고교 입학, 3일만의 한국전쟁
전란 속, 대학으로 가는 길목
전북대학교에 들어가서
날아간 2지망과 3지망
대학신문 창간에 징발되다
뒤늦게 고시로 '전향'하다
2. 시국사건 변호사의 험난한 세월
고시합격, 검사의 길
법무부, 서울지검 거쳐 변호사로
시국사건 변호 제1호 <분지>필화사건
'반미소설'의 법정 논쟁
크게 부풀린 동백림사건
천상병 시인이 동백림사건에
시화전, 시집출판
누명 쓴 재일동포 이득현씨와 두 일본인 변호사
통일혁명당사건과 김종태
3. 1970년대 이 땅의 광기 속에서
김지하의 담시<오적>사건
월간<다리>필화사건
서승 형제, 재일동포 유학생 간첩단사건
한국엠네스티의 창립
변호사 사무소 변천기
방송사 낙방생의 방송사 드나들기
남북 유엔 동시가입론과 김준희 교수
10월 유산과 야당의원 탄압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사건과 박형규 모사
1970년대 초입의 내 생각
《법과 인간의 항변》과 방관죄
대통령 긴급조치 1호와 장준하.백기완
기독교계에 번진 유신철폐 개헌운동
4. 끝업는 고난의 행렬을 따라
'성직자 구속' 유인물 사건
이런 사이, 저런 모임-문학동네
<한양>지 '문인 간첩단사건'
긴급조치 4호, 민청학련사건
인혁당사건, 사법살인, 재심무죄
'학생 선동'으로 구속된 연세대의 두 교수
납치당한 DJ, 법정에 서다
KNCC 인권위원회와 나
이병린 변호사 구속 파문
5. 변호사-구속자-실업자-구속자-실업자
반공법으로 구속된 방공법 변호사
변호사의 감옥살이 사계절
아홉달 만에 항소심에서 풀려나
실직자의 애환, 저작궈 전문가 행세?
나의 장외, 삼민사 이야기
출판사의 추억과 '플러스 알파'
추방장들의 모임 '으악새'
김대중내란음모사건으로 조연으로
'마'의 지하실, 고문의 비명과 죽음 같은 침묵
군법'회의'의 희비극
'김대중 사형' 재판극과 감옥살이
6. 19080년대의 감옥살이, 강단, 법정
40대 후반에 소년교도소로
구속사 가족들의 맹활약
석방이후, 그 시절의 내 생각
'개판'이야기
법조계 복귀, '노가바'사건
재일동포 지문찍기 반대운동
저작권 강단 13년의 보람
혼자서 한달간 '세계 저작권 기행'
<민중교육>사건의 전말
권인숙 양의 수난, 부천서 성고문사건
7. 민주.통일을 향한 '사건' 속에서
정부의 '보도지침' 폭로사건
6월 민주항쟁과 변호사들의 가두시위
'민변'의 출범과 항해
<한겨레 신문> 창간 전후
이돈명, 노무현, 이상수 변호사의 구속
<한겨레신문>방북취재기획사건
문익환 목사 방북사건
분단극복을 시도한 '죄인'들
김대중 납치사건 진상규명운동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10년
8. 감사원에서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까지
감사원장에 취임하여
감사원의 독립, 3방위 수비
감사원의 원훈, 문장교육, 탈컴맹
감사원장의 국제무대
감사원장 정년을 70세로 늘려놓고
사랑의 택배업,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노무현 대통령 탄핵사건
'반국가단체 지배지역' 북한 땅을 오가며
한국외대를 거쳐 '사개추위'로
60년만의 사법개혁, 그 난관을 헤치고
사법개혁의 마무리, 보람과 아쉬움
9. 나 자신으로 돌아와서
나의 글, 나의 책
나의 건강, 그 허약함 속의 저력
엄숙과 유머, 내 양면성의 효용
나의 신앙
나와 정치
우리 집안, 우리 가족
법조인의 자화상
지식인의 길
에필로그 그래도 못다 한 말
한승헌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