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 아집 문화의 원류 파악, 아집도에 담겨 있는 제화시문의 분석, 아집 활동의 의미, 중국 시문의 탄생 공간으로서의 원림에서 개최된 아집의 의미, 그리고 문화권력 형성, 상업자본과의 관계, 더 나아가 그것의 문화적 의미를 총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1장 중국 아집문화 서설
1. 중국 아집문화에 대한 인식
2. 중국 아집문화의 범위
2.1. 아집 시기의 범주
2.2. 아집 담당층의 범주
2.3. 아집 공간과 장소의 범주
2.4. 아집 결과물의 범주
2.5. 아집 명칭의 범주
2.6. 기타 아집 범주
2장 중국 아집의 원류와 변화 과정
1. 아집 담당층의 변화 과정
1.1. 군신 간의 창화와 권력강화
1.2. 문인 지식인 간의 아집과 시서화 창작
1.3. 관료들 간의 아집과 문화권력 형성
1.4. 사대부와 상인 계층 간의 아집과 문화 후원
2. 아집 형식의 변화 과정
2.1. 민속활동 행위(春褉)
2.2. 음주부시(飮酒賦詩)
2.3. 동년회(同年會)
2.4. 전별연(餞別宴)
2.5. 꽃 감상(賞花會), 품차(品茶), 완고(玩古)
3. 아집 기능의 변화 과정
3.1. 권력 강화의 기능
3.2. 문화 권력 형성의 기능
3.3. 문학 생산의 기능
3.4. 문화 확산의 기능
3장 아집의 시화 통합: 아집의 통합시스템
1. 아집의 회화적 재현
2. 아집의 시문적 재현
4장 아집과 원림: 문화 전파와 문화 권력 형성
5장 중국 아집의 문화적 가치
부록 1 중국 역대 아집 일람표
부록 2 아집 시문 번역 및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