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 叢桂堂 詩集(총계당 시집)
  • 叢桂堂 詩集(총계당 시집)

    발행연도 - 2015 / 鄭之升(정지승) 著 ; 尹浩鎭(윤호진) 譯 / 문예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18263
    • ISBN 9788997916511
    • 형태 295 p. 22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시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시/시조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펴내며
일러두기

論文
叢桂堂 鄭之升과 그의 漢詩
鄭之升 詩의 唐詩的 特性에 대하여

序文
조위한의 서문趙纘韓序
윤신지의 서문尹新之序
김상헌의 서문金尙憲序

七言 律詩
동진 이상서에게 보냄寄東津李尙書
숙부께 받들어 올림奉呈叔父
춘초정에서 송별을 하며春草亭送別
이자유를 곡함哭李子由
쌍계사에서 익지의 시에 차운함雙溪寺次益之
중양절에 구월산에 올라重陽登九月山
평양에서 옛일을 생각함東明懷古
용문사의 섬돌에 쓰다題龍門寺砌石
강가의 정자에서 자순의 시에 차운하다江亭次子順
제봉의 임소로 가는 사람을 보내며送人霽峰任所
봄날 눈에 보이는 대로 두 수春日卽事 二首
중양절에 약산의 동대에서 자순의 시를 차운하여 상인에게 줌九日藥山東臺次子順韻贈上人
동진 이상서가 연경에 조회를 가는 것을 송별함送東津李尙書朝燕京
안계장이 계림으로 귀근가는 것을 보냄 두 수送安季章歸覲鷄林 二首
신질부가 양산에 들어가는 것을 보내며送申質夫入楊山
중의 시축에 제봉의 운을 차운하여 쓰다僧軸次霽峰韻
이익지가 관동에 유람가는 것을 보내며送李益之遊關東
벗이 어머니를 모시고 호남으로 돌아가는 것을 보내며送友人奉母歸湖南
용문사에서 이신경과 헤어지며龍門別李信卿
소씨와 한씨 두 사람이 찾아 왔다蘇韓二子來訪
질부에게 주다贈質夫
제원 김장이 추로백 한 병을 보내왔다濟源金丈送秋露一壺
멋대로 부르는 노래放歌行
성칙우가 풍악으로 놀러가는 것을 보내며送成則優遊楓嶽

五言 律詩
벗을 찾아갔다가 만나지 못함訪友不遇
임자순에게 부침寄林子順
낙영산 공림사에서 노닐며遊落影山空林寺
산에서 살며 눈에 보이는대로山居卽事
향산에서 눈에 보이는대로香山卽事
설학 형이 형강으로 돌아가는 것을 보내며送雪壑兄歸荊江
제목없음無題
남원의 청계동에서 놀며遊南原淸溪洞
대동강에서의 가을 회포大同秋懷
서호에서 허치유에게 부침西湖寄許稚游
강가에서 밤에 피리소리를 듣고江上夜聞笛
김계운을 부여의 시소로 보내며送金季雲扶餘試所
홍양에서 동생에게 보냄洪陽贈舍弟
부녕에서 묵사에게 줌復寧贈黙師
자순에게 부침寄子順
장단의 객사에서長湍客舍
봉은사 스님의 시축에 지음題奉恩寺上人詩軸
청향정에서 가을날 잔치를 열고淸香宴秋日
정토사에서 벗에게 부침淨土寺寄友人
송양의 기녀 매향에 대한 만사松壤妓梅香挽
춘초정에서春草亭

七言絶句
강선루에서降仙樓
청명절에淸明
무주의 삼청각에서茂朱三淸閣
술잔을 마주하고 지음對酒作
상사일에上巳
제목 없음 세 수無題 三首
축천정에서 이별을 하며 중국 사람의 『명시별재』 가운데에 뽑혀 들어갔다丑川亭留別選入華人『明詩別裁』中
공주에서 눈에 보이는대로公州卽事
산 속에서 눈에 보이는대로山中卽事
사암 박순을 보내며送朴思庵 淳
호수가 정자에서 밤에 술을 마심湖亭夜飮
맘껏 노님壯遊
『황정경』을 읽음讀黃庭經
혜사가 금마현으로 가는 것을 보내며 두 수送惠師金馬縣 二首
비류강에 배를 띄우고泛沸流江
흘골성에 올라登屹骨城
종상인의 벽에 쓰다題宗上人壁
신계 길가에서 지음新溪道上作
송정옥에게 줌贈宋庭玉
다시 송정옥에게 줌復贈宋庭玉
평양에서 지음東明作

五言絶句
태인의 관청에 있는 못에서 마주앉아 술을 마시며 두 수 泰仁官池對飮 二首
강가에서 눈에 보이는 경치를 읊음江洲卽事
용문산 호적사에서 지음題龍門山虎跡寺
용인의 여관에 묵으면서 두 수宿龍仁旅舍 二首
취하여 어사 이치요에게 주다醉贈李御史致堯

補遺
다른 사람에게 줌與人
이자유의 죽음을 슬퍼함哭李子由
정작에 대한 만사挽鄭爝
신륵사에서 이익지에게 부침神勒寺寄李益之
자순의 시에 차운하여 중의 시축에 지음僧軸次子順韻
백련사에서 두 수白蓮社 二首
신암사에서 각조에게 줌 두 수神巖寺贈覺照 二首
송양의 객사에서 김생의 친동생에게 보이다 두 수 松壤客舍示金生舍弟 二首
송양에서 금루관 이신경에게 보냄松壤送禁漏官李信卿
회양의 성수익에게 올림上成淮陽壽益
설학 형에게 줌 두 수贈雪壑兄 二首
강인경의 초당에 지음題姜仁卿草堂
사군 황혁을 보내며送黃使君爀
빗속에 자순을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함雨中訪子順不遇
친동생에게 부침寄舍弟
서중을 보내며送舒仲
엄상인에게 줌贈嚴上人
숙부께 받들어 보냄奉送叔父
덕천에서 길을 가다가 중에게 줌德川道中贈僧
제목을 잃음失題

追補
차운하여次[天遊子鄭之升]

附錄
총계당 정공 묘표叢桂堂 鄭公 墓表
행록行錄
유사遺事
제가의 기술諸家記述
한벽당에 쓴 기문寒碧堂記
옛터에 세운 비석遺墟碑
附錄/補遺 여러 사람들의 기술諸家記述

諸家 交遊詩
중의 시권에 실린 정지승의 시에 차운함僧卷 次鄭之升韻
춘초정에 묵으며宿春草亭
정자신의 시에 차운하여次鄭子愼韻 名之升
정자신을 그리며懷鄭君子愼
춘초정에 붙여 정자는 곧 정현의 정자이다題春草亭 亭乃鄭礥亭也
정자신 지승에게 부침寄鄭子愼之升
정자신을 보내며送鄭子愼
정자신에 대한 만사挽鄭子愼
회계의 산인 정지승에게 부침 두 수寄會溪鄭山人之升 二首
금강에서 정자신과 이별함錦江別鄭子愼
정자신 지승에게 줌贈鄭子愼之升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다행히도 재주 없어 나만 홀로 한가롭다 : 안대회가 선택한 152편의 한시 다행히도 재주 없어 나만 홀로 한가롭다 : 안대회가 선택한 152편의 한시 2019 / 안대회 지음 / 산처럼
새벽 한시 : 빛과 어둠을 만나는 시 새벽 한시 : 빛과 어둠을 만나는 시 2015 / 안대회 엮고 쓰다 / 태학사
서리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붉어라 : 유병례 교수와 함께하는 시니어 한시 산책 서리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붉어라 : 유병례 교수와 함께하는 시니어 한시 산책 2017 / 유병례 지음 / 뿌리와이파리
(하루 한 수) 한시 365일 (하루 한 수) 한시 365일 2010 / 이병한 엮음 / 그린비출판사
석견루시초 석견루시초 2019 / 지음: 이복현 ; 옮김: 조창록, 이성민, 김채식, 이상아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우리 한시(漢詩) 삼백수 : 5언절구 편 우리 한시(漢詩) 삼백수 : 5언절구 편 2014 / 정민 평역 / 김영사
우리 선시 삼백수 우리 선시 삼백수 2017 / 정민 지음 / 문학과지성사
叢桂堂 詩集(총계당 시집) 叢桂堂 詩集(총계당 시집) 2015 / 鄭之升(정지승) 著 ; 尹浩鎭(윤호진) 譯 / 문예원
그대 만나려고 물 너머로 연밥을 던졌다가 : 허난설헌 시선집 그대 만나려고 물 너머로 연밥을 던졌다가 : 허난설헌 시선집 2018 / 허난설헌 원저 ; 나태주 편역 ; 혜강 그림 / 알에이치코리아
꽃, 마주치다 : 옛시와 옛그림, 그리고 꽃 꽃, 마주치다 : 옛시와 옛그림, 그리고 꽃 2013 / 기태완 지음 / 푸른지식
물고기, 뛰어오르다 : 동아시아 2500년 옛사람들이 사랑한 우리 물고기 물고기, 뛰어오르다 : 동아시아 2500년 옛사람들이 사랑한 우리 물고기 2016 / 기태완 지음 / 푸른지식
오횡묵의 「여수잡영」 120년 전 여수를 읊다  오횡묵의 「여수잡영」 120년 전 여수를 읊다 2018 / 지음: 김준옥, 김병호, 김희태 / 심미안
조선후기 강화학파 팔광의 삶과 시세계 조선후기 강화학파 팔광의 삶과 시세계 2021 / 지음: 이승용 / 학자원
시평보유: 못다 한 조선의 시 이야기 시평보유: 못다 한 조선의 시 이야기 2019 / 홍만종 지음, 안대회 외 옮김 / 성균대학교출판부
허난설헌 : 조선 최초의 한류스타 허난설헌 : 조선 최초의 한류스타 2019 / 김예진 씀 / 수선재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리처드 도킨스의)진화론 강의 : 생명의 역사, 그 모든 의문에 답하다 (리처드 도킨스의)진화론 강의 : 생명의 역사, 그 모든 의문에 답하다 2016 / 리처드 도킨스 지음 ; 김정은 옮김 / 옥당
(술술 읽히고 착착 정리되는)끄덕끄덕 세계사. 3:, 자본주의의 시대 (술술 읽히고 착착 정리되는)끄덕끄덕 세계사. 3:, 자본주의의 시대 2015 / 서경석 지음 / 아카넷주니어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 사고의 틀을 바꾸는 유쾌한 지적 훈련 (상식으로 시작하는) 한 뼘 인문학 : 사고의 틀을 바꾸는 유쾌한 지적 훈련 2015 / 최원석 지음 / 북클라우드
시 읽기의 즐거움 : 나의 한국 현대시 읽기 시 읽기의 즐거움 : 나의 한국 현대시 읽기 2016 / 이시영 지음 / 창비
(상대의 겉과 속을 꿰뚫어보는) 사람을 읽는 기술 (상대의 겉과 속을 꿰뚫어보는) 사람을 읽는 기술 2010 / 이태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시를 잊은 그대에게 :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시를 잊은 그대에게 :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2020 / 지음: 정재찬 / Humanist(휴머니스트)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 가장 예쁜 생각을 너에게 주고 싶다 2019 / 지음: 나태주, 그림: 강라은 / 알에이치코리아
아빠를 딱 하루만: 김미혜 동시집 아빠를 딱 하루만: 김미혜 동시집 2009 / 지음: 김미혜, 그림: 이광익 / 창비
마음이 살짝 기운다 (나태주 신작 시집): 나태주 신작 시집 마음이 살짝 기운다 (나태주 신작 시집): 나태주 신작 시집 2019 / 나태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흐린 날 미사일 흐린 날 미사일 2013 / 지음: 김영승 / 나남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 장석남 시집 고요는 도망가지 말아라 : 장석남 시집 2012 / 장석남 지음 / 문학동네
(이동순 민족서사시)홍범도. 1-10 (이동순 민족서사시)홍범도. 1-10 2003 / 이동순 지음 / 국학자료원
(제12회) 미당문학상 수상작품집  : 봄밤·권혁웅 (제12회) 미당문학상 수상작품집 : 봄밤·권혁웅 2012 / 지은이: 권혁웅 외 / 중앙북스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2019 / 지음: 한강 / 문학과지성사
빈 배처럼 텅 비어: 최승자 시집 빈 배처럼 텅 비어: 최승자 시집 2016 / 지음: 최승자 / 문학과지성사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박준 시집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 : 박준 시집 2017 / 지음: 박준 / 문학동네
아기 까치의 우산 : 김미혜 동시집 아기 까치의 우산 : 김미혜 동시집 2005 / 지음: 김미혜 ; 그림: 한수진 / 창비
뺨에 서쪽을 빛내다 : 장석남 시집 뺨에 서쪽을 빛내다 : 장석남 시집 2011 / 지음: 장석남 / 창비
반성 : 김영승 시집 반성 : 김영승 시집 2014 / 지음: 김영승 / 민음사
(박성우 시인의)첫말 잇기 동시집 (박성우 시인의)첫말 잇기 동시집 2019 / 박성우 지음; 서현 그림 / 비룡소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1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1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