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명성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PR과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기업 명성을 재조명한 연구서. 명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개념들을 정리하는 한편, 각각 다른 학문적 접근에서 바라보는 명성 개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목차
머리말
1장 기업 명성에 대한 다양한 관접과 개념화 1. 기업 명성 개념 정의와 관련 개념 논의 2. 기업 명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3. 기업 명성 개념 정의 기준과 주요 속성
2장 명성 모델과 영향 요인 1. 다울링의 기업 명성 형성 모델 2. 발머와 그레이의 기업 정체성-기업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새로운 모델 3. 반릴과 폼브런의 기업 커뮤니케이션 경영 모델 4. 그루닉의 전략적 PR 관리 모델 5. 알레산드리의 기업 정체성 작동 방식 모델 6. 마흔의 기업 명성의 역동적 모델 7. 린도바와 폼브런의 명성 형성 지도 8. 스바지스와 셰르나토니의 기업 정체성의 6개 영역 모델 9. 발머와 그레이저의 AC2ID 모델 10. 르웰린의 정체성-이미지-명성 통합 모델 11. 포만과 휘튼, 맥키의 조직 정체성 관점의 명성 모델 12. 워커의 명성 행동 전후 단계 모델 13. 린도바와 마틴즈의 명성 다차원적 개념화 모델 14. 폼브런의 통합적 기업 명성 모델
3장 기업 명성과 커뮤니케이션 1. 기업 자산과 명성: 기업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과 경영 성과 2. 위기와 명성: 기업 정당성 회복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3. CSR과 기업 명성: 기업 시민과 사회 책임 커뮤니케이션 4. 관계성과 명성 : 조직-공중 간 상징적 관계와 행동적 관계 5. 명성과 미디어: 매개된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명성 6. 명성과 소셜 미디어: 상호 작용적 대화 커뮤니케이션 7. 조직과 명성: 기업 정체성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4장 통합적 명성 관리 커뮤니케이션 자본 모델 1. 통합적 명성 관리 커뮤니케이션 자본 모델의 개념과 특성 2. 통합적 명성 관리 커뮤니케이션 자본의 주요 이론과 구성 요소
5장 통합적 명성 관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자본과 사례 1. 통합적 명성 관리를 위한 18가지 커뮤니케이션 자본 2. 사례연구: 명성 높은 기업의 18가지 커뮤니케이션 자본
참고 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 보는 순간 사고 싶게 만드는 9가지 법칙2017 / 지은이:이랑주 / 인플루엔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