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지인문학 : 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을 만나다
발행연도 - 2015 / 양해림 ; 임지원 ; 정우숙 ; 장남호 ; 김기홍 ; 이형권 ; 권도경 ; 정귀훈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
-
자료실
[영종하늘]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YS0000018183
-
ISBN
9788975995583
-
형태
281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총류
>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인문학 일반
>
교양 인문학
책소개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지문화연구 시리즈 3권. 이 책에 실린 양해림의 '인지인문학의 역할과 과제'를 제외한 8편의 모든 글들은 그동안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계간 등재지인 「인문학연구」의 '인지와 문화, 그리고 대중문화'에 관련된 논문들을 선별하여 수정.보완하여 수록한 것이다.
목차
01 인지문학의 역할과 과제
양해림(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소장/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 인지인문학의 출발점 15
2. 인문학과 인지과학의 만남 18
3. 인지인문학: 융합•통섭 21
4. 인지인문학의 과제 22
5. 맺음말 28
02 메타텍스트의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
-패러디 광고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책략과 관련하여-
임지원(한밭대학교 강사)
1. 머리말 37
2. 메타텍스트에 대한 인지적 의미 해석 과정 이론 38
3. 메타텍스트의 의미 해석과 관련된 수용자의 인지책략 47
4. 수용자의 인지 능력과 패러디 광고텍스트와의 관계 52
5. 맺음말 54
03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hallyu culture) 그리고 그 미래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양해림(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1. 들어가는 말 61
2. 문화의 교류와 한류의 열풍 64
3. 문화의 자본화 70
4. 문화의 탈상업주의화 75
5. 맺음말: 한류문화의 미래 78
04 매체언어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적 의미 분석과 해석적 글쓰기의 재생산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엄지원(한밭대학교 강사)
1. 머리말 87
2. 매체언어와 학습자의 인지원리 91
3. 신문광고를 이용한 해석적 사고와 글쓰기 재생산 96
4. 맺음말 108
05 미술관 소재 작품을 통해 본 인지와 성찰의 극작술
-연극 〈도쿄 노트〉와 영화 〈뮤지엄 아워스〉를 중심으로-
정우숙(이화여대 국어국문학전공 부교수)
1. 들어가는 글 115
2. 미술관 내외 공간의 극중 활용 방식을 통한 장르적 특성의 강화 118
3. 직설과 비유, 자기반영적 수단으로서의 화가의 인용 124
4. 일상과 비일상의 접점에 대한 인식으로서의 ‘보기’와 그 행위에 대한 메타적 사유 129
5. 나오는 글 135
06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こゝろ)』 단상장남호(충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1. 들어가며 143
2. 죽음을 통한 유서 145
3. K의 자살 149
4. ‘선생’의 자살 153
5. 나가며 159
07 창의성과 사회적 본성과 문화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기홍(한성대학교 외래교수)
1. 들어가는 말 165
2. 창의성에 대한 접근의 일반적 경향 167
3. 창의성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의 발전 : 창의성과 사회적 환경과의 관계 173
4. 창의성과 인간의 매개로서의 문화 178
5. 나가는 말: 인문학적 함의 183
08 지역 문화예술의 시대적 의미와 비전
-대전의 문화예술의 중심으로-
이형권(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1. 대전의 정체성과 문화예술 189
2. 대전시 문화예술의 현재와 비전 193
3. 문화예술의 메카와 물적 토대 214
09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 방식과 그 의의
권도경(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1. 문제설정의 방향 221
2.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 방식과 그 서사적 유형 224
3. 2000년대 한국대중문화콘텐츠의 기독교문화스토리텔링이 지니는 의미 245
4. 나오는 말 250
10 비체 되기의 즐거움: 『마음의 범죄』
정귀훈(한밭대학교 강사)
Ⅰ. 들어가는 말 257
Ⅱ. 여성의 주체 260
Ⅲ. 비체의 역할 270
Ⅳ. 맺음말 278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