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개념
3. 연구 범위와 서술 방향
Ⅱ.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형성 배경
1. 사회사적 배경
2. 문학사적 배경
Ⅲ. 17세기 역사소설의 양상
1. 전란 체험과 가족 이야기
1) 전후(戰後) 사회 재건의 염원과 가족이데올로기: <최척전>
(1) <최척전>의 가족 지향성
(2) 전랸의 의미와 작가의 현실인식
(3) 가족의 의미망 확장과 사회 재건의 염원
2) 가족 이산의 문제와 고통스런 민중의 삶: <김영철전>
(1) 김영철의 귀향 의지와 가족애
(2) 민중의 고통스런 삶과 작가의 현실인식
(3) 민중의 현실을 보는 작가와 지배층의 시각 차이
2. 존주대의(尊周大義)에 비쳐진 인물의 부정적 형상화: <강로전>
1) 심하전투와 서인정권의 출현
2)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형상화의 양상
3) 부정적 인물과의 거리 두기와 긍정적 정체성의 재구성
3. 17세기 역사소설의 특성
Ⅳ. 18세기 역사소설의 양상
1. 위기의 현실에 대한 상반된 이해와 영웅성의 재발견
1) 존주론(尊周論)의 강화와 이념적 영웅의 창조: <임경업전>
(1) <임경업전>의 형성 배경
(2) 임경업의 영웅화와 선악의 대결 구도
(3) 영웅과의 동일시와 조주대의의 내면화
2) 지배담론의 거부와 민중의 역사의식: <임진록>
(1) <임진록>의 형성시기
(2) 관념적 허위의 폭로와 주체적 자긍심
(3) 민중의 현실인식과 반일·반청의식
2. 정통론(正統論)의 침투와 대중적 수용
1) 정통론의 확산과 규방여성의 역사의식: <박씨전>
(1) <박씨전>의 규방소설적 성격
(2) <삼국지연의>의 독서와 정통론의 확산
(3) <임경업전>과의 자매편적 성격과 여성 독자의 역사의식
2) 화이론적(華夷論的) 세계관의 대중화와 현실의 비애: <배시황전>
(1) <북정록>의 소설화 과정
(2) 작가의식의 변화와 이본의 변이양상
(3) 관념적 세계인식과 현실의 비애
3. 당쟁의 격화와 그 소설적 반영
1) 충역(忠逆)의 엇갈린 평가와 당론(黨論)의 우의(寓意): <윤지경전>
(1) <윤지경전>의 이중적 독법과 역사소설적 성격
(2) 충신과 간신의 갈등구도와 충역론(忠逆論)
(3) 충(忠)과 역(逆), 그 미묘함과 우의(寓意)의 미학
2) 당쟁에 대한 민중의 비판의식: <박태보전>
(1) <박태보전>의 형성시기
(2) 사육신의 재평가와 박태보의 형상화
(3) 역사적 사실의 통속적 변용과 민중의 비판적 인식
4. 18세기 역사소설의 특성
Ⅴ. 19세기 역사소설의 양상
1. 외세 침략의 위기의식과 영웅대망론: <흥무왕연의>
1) 숭조정신(崇祖精神)과 영웅대망론(英雄待望論)
2) 외세 침략의 위기감과 극복 의지
3) 19세기 소설 및 후대 소설과의 관련 양상
2. 19세기 역사소설의 특성
Ⅵ.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변모 양상과 그 원인
1.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변모 양상
1) 17~19세기 역사소설의 양상
2) 인물 형상화 방식과 서사전략의 변화
2.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변모 원인
1) 시대 환경의 변화
2) 소설적 환경의 변화
Ⅶ.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특성과 의의
1.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특성
1) 계층별 역사인식과 그에 부합하는 인물상의 창조
2) 정서적 접근법과 선악의 대결 구도
3) 정체성의 재구성과 지배이념의 내면화
2.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의의
1) 다양한 장르와의 교섭과 현실 반영의 확대
2) 반성적 현실인식과 민족 정체성의 재구성
Ⅷ.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