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환경오염 문제를 다루는 환경리스크학 전문가 나카니시 준코 박사가 먹거리 문제에 관해 쓴 책이다. 먹거리의 안전을 독립적으로 다루어 논할 시대는 아니며, 리사이클과 먹거리의 안전, 자원과 먹거리의 안전문제라는 식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 준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먹거리의 안전 - 그 비용과 편익
안전을 희생하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안전이 있다
안전과 리스크
risk와 RISK
땅콩의 위해성
수돗물의 위해성
염소 소독에 의한 발암 리스크
미생물에 의한 감염증의 리스크
BSE(소해면상뇌증)의 리스크
국산 소에 의한 BSE의 리스크
리스크 추정값의 경시적 변화가 문제를 복잡하게 한다
돈이란 무엇인가
하버드대학교의 리스크연구
먹거리의 안전문제 - 실제로는 무엇이 문제였나
위해성 평가의 방법에도 문제가 있다
식품의 안전이 특별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
질의응답
제2장 먹거리의 정보와 위해성 - 대담:나카니시 대 다카하시
푸드 패디즘과 마주치다
설탕은 유해한가?
칼슘이 붕괴된다?
기업의 우군?
아미노산 붐
밸런스 영양식품 - 감자칩?
광고문구로 행간을 읽게끔 한다
건강을 위해서는 죽어도 좋다?
리놀산 신화의 다음은 올레인산 신화
식육기본법의 모순
‘신문기사’에서 교재를 찾는 중ㆍ고교 교사
텔레비전에서 이야기하고 있으니까 옳다?
‘건강식품’으로 건강은 살 수 없다!?
국가에서 인정하지 않는 ‘건강식품’
건강식품으로 치료 효과를 과신하지 않는다
해가 없는(?) 건강식품
몸에 좋은 정보와 몸에 나쁜 정보
수돗물에 불소를 첨가해도 좋은가?
식생활은 서구화되지 않았다
우유 유해론의 모순
폴리페놀은 환경호르몬
남성이 식사에 관여함으로써 푸드 패디즘이 변한다
제3장 먹거리를 둘러싼 논쟁 -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 듣는이:마츠나가 와키
중국제 식품은 위험합니까?
국산이 더 안전하고 안심됩니까?
식량자급률 40%로 안 되겠습니까?
바이오연료는 환경에 좋습니까?
바이오연료와 식량이 경합하여 식량가격이 급등하고 있습니까?
유기농업은 환경에 좋습니까?
유전자재조합작물은 안전합니까?
식물공장은 친환경?
안전을 추구하는 시민운동을 어떻게 평가합니까?
그 후 다이옥신의 문제를 다루게 되었군요?
안전에 관한 연구에서는 기업과의 관계가 상당히 어렵다고 생각되는데
납도 먹거리가 원인입니까?
안전과 지속가능성은 모순됩니까?
식품안전위원회란 무엇인가 ? 과학자의 정체성을 묻는다
전문가의 의견이 중립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제4장 다양한 먹거리의 문제
눈금돔을 희생양이라고 생각하는 이유 - 메틸수은의 위해성에 대해
자연과 순환은 위험 - 따라서 이를 다루는 데 과학이 필요
자연계 기피는 누가 만들었나?
아카네색소 금지문제
자연은 커다란 병원? - 자연 산물과 독물
수은에 관한 후생노동성의 주의(2005년도) - 2003년도에 발표된 수은에 관한 ‘주의사항’에서의 속임수는 수정되었나?
아가리쿠스버섯의 발암성 강도
식품안전에 관한 국제문제와 리스크 평가
멜라민 오염 - 회수의 의미
믿을 수 없는 인식과 대응 - 톨루엔
이번엔 비소인가요?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