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학인문강좌 66권. 이영옥의 <미국소설과 공동체 의식>. 1부 '미국 공동체 의식의 역사적 배경', 2부 '미국의 남부와 공동체 의식', 3부 '미 흑인의 역사의식과 공동체 회복', 4부 '한국계 작가의 다원사회적 비전'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_ 머리말 _ 서론: 미국사회 공동체 의식의 형성과 의미
제1부 미국 공동체 의식의 역사적 배경 1. 초기 이민과 기독교 정신 2. 19세기 산업사회에서의 이상향 추구 운동 3. 현대 미국사회의 공동체 의식의 발현
제2부 미국의 남부와 공동체 의식 1. 남부의 특성과 르네상스 운동 1) 미국 남부의 원죄의식 2) 멘켄의 ‘예술의 불모지’와 남부 자존심의 촉발 3) 르네상스 운동의 배경과 성과 ① ‘A New South’로의 첫걸음 ② 남부문학운동의 에너지 결집 ③ ‘남부 르네상스’(Southern Renaissance)의 특성 2. 로버트 펜 워런과 남부 1) 워런의 성장배경과 작가의식 2) 남부사회에 대한 워런의 통찰 3) 워런의 공동체적 비전 3. 『모두 왕의 신하들』: ‘세상은 하나’ 1) 작품의 소재 2) 이미지와 주제 3) 개인에서 공동체로 ① 실용주의의 유혹과 타락: ‘선(善)은 악(惡)으로부터’ ② 불륜의 파장과 남부의 원죄 ③ 이기적 이상주의자의 각성 4) “거미줄”의 의미: 역사를 안고 공동체 속으로
제3부 미 흑인의 역사의식과 공동체 회복 1. 미국 남부의 흑인 노예제도 양상 2. ‘노예자서전’ 등장의 의미 3. 흑인의 정체성 확립: 할렘 르네상스 4. 허스톤에서 모리슨으로 5. 모리슨의 초기작들 1) 흑인 정체성과 모리슨 2) 『제일 파란 눈』 3) 『술라』 6. 갈등에서 화해로 1) 『빌러비드』의 탄생 배경 2) 서사로서의 『빌러비드』 3) ‘노예자서전’ 전통 계승 4) 흑인공동체로의 합류 ① 세서의 고립 ② 덴버의 고립 ③ 관계 짓기 I: 폴 디의 노력 ④ 관계 짓기 Ⅱ: 빌러비드의 등장 ⑤ 덴버의 결심과 공동체 회복
제4부 한국계 작가의 다원사회적 비전 1. 미국이민과 초기 문학 1) 아시아계 이민의 역사 2) 필립 재선(서재필)과 영힐 캉 2. 언어와 역사의 의미 1) 테레사 학경 차 2) 노라 옥자 켈러 3) 창래 리 3. 창래 리의 도전 4. 『네이티브 스피커』 1) 네이티브 언어와 동화(同化)의 문제 2) 아들 미트: 다원사회의 초석 3) 스파이: 이민자의 삶의 은유 4) 존 쾅: ‘Asian American Dream’ 5) 존 쾅의 몰락 5. 창래 리의 다원사회적 비전 1) 미트의 유산 2) 존 쾅의 유산
_ 결론: 보다 나은 미래의 공동체를 위하여
_ 부록 I. 언어와 정체성: 창래 리와의 인터뷰 _ 부록 II. 종합토론 _ 인용문헌 _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영문학 속 여성 읽기 : 제인 오스틴에서 에밀리 브론테, 호손에 이르기까지2012 / 원유경 지음 / 새움출판사
영문학 속 여성 읽기 : 제인 오스틴에서 에밀리 브론테, 호손에 이르기까지2012 / 원유경 지음 / 새움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