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서장 전쟁검증의 좌절
1억 총 참회인가 지도자 책임인가?/ 대동아전쟁조사회 설치/ 흔들리는 조사방침― 무엇을 위해, 어디까지/ 잃어버린 첫 번째 기회/
50년 뒤의 전쟁 검증/ 이 책의 구성
1부 샌프란시스코 강화체제
1장 도쿄재판과 전범석방
Ⅰ도쿄재판― 희미해지는 중일전쟁
평화에 대한 죄/ 점령개혁으로서의 도쿄재판/ 중국침략이 개전원인?/ GHQ가 제공한 「태평양전쟁사」의 의미/ 희미해지는 중일전쟁
봉인된 전쟁범죄/ 전범재판의 효과/ 천황의 면책과 퇴위 문제
Ⅱ강화와 전범석방 문제
점령이라는 사실상의 강화/ 수락을 둘러싼 해석의 혼란/ 강화 후의 전범석방 문제/ 전범석방론과 전쟁책임/ 전범석방과 각국의 의도
중국전범의 행방
2장 전쟁희생자는 누구인가- 국가보상과 전쟁배상
Ⅰ원호입법과 국가보상
유족원호법의 제정, 군인은급의 부활/ 국가보상에 대한 저항/ 군인은급의 부활을 둘러싸고/ 공무희생자의 확대
Ⅱ전쟁배상의 인식, 냉전 중동남아시아에 대한 배상
배상의 행방, 무배상원칙에 대한 반발/ 동남아시아 4개국에 대한 배상/ 베트남의 복잡한 사정/ 남베트남정권의 정당성/ 인도네시아의 전쟁피해는 무엇인가/ 경제협력은 속죄가 되었을까/ 미국의 전략 변화
3장 식민지제국의 청산, 청구권과 국적포기
Ⅰ특수한 거래, 재외 사유재산과 배상청구
한국의 강화회의 참가 문제/ 재외 사유재산의 행방/ 강화조약에서의 재외 사유재산/ 한일청구권협정/ 타이완, 일화(日華)평화조약과 이덕보원(以德報怨)의 행방/ 중일국교정상화와 배상 문제/ 강화체제의 위기 극복/ 청구권이라는 장벽
Ⅱ비정한 국적포기
식민지주민의 국적 문제/ 재일조선인의 국적/ 국적의 회복이란/ 국적선택론의 귀추/ 구 식민지 출신자의 배제/ 강화체제의 틈새, 타이완 출신 군인·군속/ 준엄한 법, 조선 출신 군인·군속
2부 1980년대, 공평과 고통분담
4장 야스쿠니신사 문제의 국제화, 나카소네 총리 공식참배의 좌절
합사기준과 순국/ 일본유족회, 영령의 현창을 요구하다/ 야스쿠니법안을 둘러싼 공방/ 종교법인 이탈이라는 선택지/ A급전범의 합사/ 나카소네 총리의 공식 참배/ 중국의 비판, 책임이분론의 원칙/ 고토다(後藤田)담화, 아시아국가에 대한 배려/ 정교분리와 목적효과기준/ 분사론(分祀論)의 기원/ 침략전쟁을 둘러싼 논쟁/ 일관된 정부의 입장
5장 역사교과서 문제- 이데올로기 논쟁에서 국제 문제로
이에나가(家永)의 교과서 소송/ 무모한 전쟁을 둘러싼 논쟁/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역사교육의 모습/ 1982년 역사교과서 문제/ 근린제국조항의 성립/ 1986년의 제2차 교과서 문제/ 후지오(藤尾正行) 문부상의 발언/ 근린제국주의 조항의 배경/ 역사교육 논쟁- 3개의 생각
6장 전후처리 문제의 종언- 수인론(受忍論)에 따른 국가보상 회피
일반시민의 제외와 세 개의 보상 문제/ 전후처리 문제 간담회 발족/ 국민수인론의 전개/ 시베리아 억류자에 대한 고심/ 피폭자의 전쟁희생/ 내부에서 지지하는 국민수인론/ 전후처리 문제의 미결/ 사할린잔류 한인의 비극/ 두 개의 벽, 냉전과 국적
3부 세기 전환기― 냉전과 55년체제 붕괴 후
7장 침략전쟁을 둘러싼 공방- 호소카와 발언에서 무라야마 담화에 이르기까지
호소카와 발언의 의의― 침략전쟁의 긍정/ 두 개의 반론― 전쟁의 다면성/ 호소카와정권에서 하타정권, 무라야마정권으로/ 사죄결의의 저지운동/ 1995년 6월 9일 국회결의/ 부전결의의 중요성/ 무라야마 담화― 장기전략으로 입안/ 무라야마 담화의 전쟁책임
8장 말에서 보상으로- 새로운 화해정책의 모색
Ⅰ전후보상 문제의 분출
경제대국으로서의 책임/ 한일협상과 청구권 문제/ 위안부 문제의 분출과 고노 담화/ 평화우호교류계획과 아시아역사자료센터/ 전후처리 문제를 넘어서/ 아시아여성 기금 발족/ 4개의 국민적인 보상 사업/ 국민기금을 둘러싼 논쟁
Ⅱ2007년의 최고재판소 판결― 개인보상의 부정
일본판 기억·책임·미래 재단 구상/ 시민사회 차원의 역사 문제/ 최고재판소의 샌프란시스코 조약체제론/ 2007년 4월 최고재판소 판결의 의의/ 칸 총리 담화― 식민지 지배의 보상
9장 중국, 한국과의 역사공동연구- 무엇이 다른가
한일공동선언과 무라야마 담화/ 서명 없는 중일공동선언/ 2001년의 교과서 문제/ 2005년 교과서 문제와 변화/ 중일역사공동연구의 3가지 의미/ 공동연구의 실제, 평행선의 역사/ 중국의 항일전쟁사관/ 한일역사공동연구의 교훈/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불가분 관계/ 지속적인 역사대화를 위해
10장 희미해지는 무라야마 담화- 야스쿠니 문제와 전쟁기념관 논쟁
고이즈미의 등장― 야스쿠니신사 참배와 무라야마 담화의 양립/ 류슈칸(遊就館)이 주장하는 것/ 분사론의 향배/ 국립추도시설안/ 아소타로의 국영화론/ 야스쿠니 문제의 해결 방법/ 쇼와칸(昭和館)을 둘러싸고/ 전쟁 없는 전쟁기념관/ 이치가야(市ヶ谷)에 전쟁기념관을
종장 평화국가와 역사 문제, 미래에 대한 설명책임
평화국가론의 공과 죄/ 모두 희생자라는 의식/ 두 개의 국가상/ 역사 문제로서의 오키나와/ 오키나와 집단자결 검정/ 오키나와전투에 관한 기술에서 잊혀진 것들/ 역사교육의 모습/ 잘못된 국책이란 무엇인가/ 역사편찬과 공공의 기억/ 미래세대에게 설명할 책임
마치면서/역자후기/ 주요 참고문헌 및 관련자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