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랜 시간 우리 민족의 삶에서 살아남은 수많은 신화와 전설, 민담, 각종 고전 문헌 등을 근거로 우리 문화의 다양한 스펙트럼과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교양서이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디선가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부담 없고 친숙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상징과 역설의 미학, 동물 속 우리 문화 이야기
신성한 까마귀의 변신
호랑이의 친구가 된 까치
공포와 해학이 공존한 호랑이
토끼가 달나라에 간 까닭은?
두꺼비의 외모에 대한 오해와 진실
뻐꾸기와 한
원숭이 엉덩이가 빨개진 이유
오랑을 낀 개, 오랑캐와 모계 혈통
제2장 계층과 지역을 하나로, 음식 속 우리 문화 이야기
김치의 역사를 다시 쓰다
후추에 길을 묻다
전골 요리와 선비 정신
굴비를 걸고 충성을 맹세하다
계층 간 교류와 비빔밥
명태와 지방관의 인연
빈대떡과 수제비에도 귀천이 있다
방자와 소금구이
임금의 먹거리에 관한 진실
농경 사회의 보양식, 개고기
제3장 사실 혹은 허구의 기록, 인물 속 우리 문화 이야기
강감찬과 여우
충선왕과 봉선화
선덕여왕과 모란꽃
김춘추와 도깨비
견훤과 지렁이
사람과 천하미물들
제4장 삶과 죽음의 궤적, 소통 속 우리 문화 이야기
십이지에 숨겨진 비밀
귀신은 퇴치해도 도깨비는 퇴치 못한다
이판사판과 건달
명당은 살아 있는 사람이 만든다
점술에도 재치와 해학이 있다
이상촌에도 유형이 있다
임금의 묘호와 역사 읽기
제5장 수용과 저항의 풍경, 일상 속 우리 문화 이야기
담배는 어른 앞에서 피워도 된다?
우산, 근대와 전근대가 만나다
기생의 변신은 무죄?
결혼 풍습은 귀신도 시기했다
칠거지악과 삼불거 논쟁
과부의 재혼을 허하라
고수레와 나눔의 정신
구두쇠의 심판과 개나리
언어와 문화의 존재 이유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