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은이의 말

1부 노래의 수사(秀史)
Ⅰ. 역사 시대를 넘어서
1. ‘불함’의 바다를 향한 여정
2. 수사의 표상
1) 실과 같은 동화와 오줌바다
2) 모자의 역사철학과 오리온좌의 만찬
3) 도적맞은 데드마스크: 환국의 면모
4) 이상의 ‘비너스의 바다’와 육당의 불함
3. 동북아 ‘슈농 비너스’의 탄생: 자궁의 얼굴
1) 불함문화론의 의의와 한계
2) 동북아 지역의 비너스: 하트얼굴의 여신과 풍요의 그릇
3) 한국의 슈농 비너스: 뿔잔과 팽이그릇의 얼굴
4) 이상의 비너스와 정육사탕
4. 불함문화의 계보잇기
Ⅱ. 육당의 ‘바다’ 경전
1. 김여제, 만만파파식적의 바다: 역사사상 투쟁의 옆길
2. 계몽적 인식의 슬픔
1) 모방적 근대성이란 평가
2) <소년시언>의 <잡언 十>: 계몽적 인식의 슬픔
3. 육당의 탈역사적 자연주의: 바다와 구름의 일자적 전체성
1) 자연과 역사의 대비법
2) 계몽적 어조
3) 바다의 경전
4) 땅(대륙)의 역사 비판: 진시황과 나폴레옹의 역사시대
5) 역사적 지평의 바깥: 창조적 물결과 새로운 리듬의 실험장
6) 놀ㆍ축제ㆍ태백
7) 근대주의적 잠: ‘나’를 깨우기
Ⅲ. 노래의 수사에 대해: 축제와 방랑, 탈출의 문학사적 의미
Ⅳ. 수사의 개념과 수사적 시사의 방향

2부 노래의 영혼과 역사
Ⅰ. ‘국가’ 바깥으로 나가기: 고대적 ‘나라’의 재발견
Ⅱ. 신채호 시의 그릇과 칼: 종족적 계보의 울음소리
1. <천희당시화>와 신국체시(新國體詩)의 주체성
2. 풍속의 그릇인 민요 혁신과 근대적 시간
3. ‘나라’의 차원으로 확장된 ‘나’: ‘나’의 계보학
4. 칼부름 노래와 주체적 자아 정립의 문제
Ⅲ. 정지용의 <백록담>: 꽃과 하늘호수의 ‘나라’

3부 김소월 시에서 꽃-나라-국가의 메나리 나라
Ⅰ. <산유화가>의 이상향적 상징
1. 성황당의 집과 여자의 사당
2. 여인의 향기
3. 스승 김억과의 관계
4. <장별리>와 <비>의 낙차
Ⅱ. 민요시학으로서의 ‘놀’
1. <삭주구성>의 민요가락
2. 수심가의 전통과 사랑의 강렬도(여성주의 정신의 승리)
Ⅲ. 집의 우주론적 기호들
Ⅳ. <<해파리의 노래>>의 병적 미학을 넘어서
Ⅴ. 김소월의 이상향: 노래의 빛

4부 무덤 속의 꿈하늘: 고분벽화 예술의 부활과 메나리 찾기
Ⅰ. 신채호의 ‘산유화’: 역사 속의 꽃
Ⅱ. <불노리>에서 <초혼>까지: <탄가>의 계보
Ⅲ. 괴기스런 웃음
Ⅳ. 눈물의 왕과 쑥같이 쓴 삶
Ⅴ. 김소월의 <무덤>: 고대적 정신과의 영적 소통
Ⅵ. 무덤 속 이상향의 르네상스
Ⅶ. 소리만 남은 노래의 사연
1. <대수풀노래>와 <옛날의 노래여>
2. 김억의 기나리 찾기 여행
Ⅷ. 거룩한 넋의 메나리: 부루 종족의 표랑의 역사와 신화

5부 노래의 새로운 양식 탐구와 새로운 신화의 형성
Ⅰ. <<창조>>파의 문제 제기
1. 주요한의 ‘함께 부르는 노래’
2. <불노리> 비판과 ‘조선의 피’의 이상주의
3. 도산 안창호의 이상주의와 김동인의 풍류적 낭만주의
Ⅱ. 이광수의 ‘노래’에 대한 관점과 서사시조 <동명성왕>

6부 <산유화>의 신성한 기원과 그 계승
Ⅰ. 노래의 역사와 신성한 기원
Ⅱ. <산유화가>의 역사
1. 백제의 <산유화가>와 향랑의 <메나리꽃노래>
2. 최남선의 <산유화>와 <꽃두고>
3. 산과 꽃의 우주론적 상징
4. 도솔가와 애환가(愛桓歌): 고대의 산유화가
5. 대관령 봄축제의 노래: <영산홍>
Ⅲ. 김소월의 <산유화/해>
1. 약산(藥山)의 진달래꽃: <진달래꽃><약산동대가><영변가>의 산과 꽃
2. 산과 사슴: 영혼의 높이
3. 봄축제의 꽃노래

7부 역사의 바닥과 변두리에 남은 신화들
Ⅰ. 성주푸리와 박넝쿨타령
1. 백석이 찾아낸 김소월의 박(태양알)
2. 나라의 종적 기원: 태모신 제비의 알
Ⅱ. 백석의 제사그릇: 종(種/宗)적 생명력의 그릇
Ⅲ. 역사 전체의 회상과 진정한 나라의 기초
1. <북방에서>와 유랑의 형식
2. 백석의 유랑철학
3. <북방에서>의 이야기 방식과 종적 역사의식
4. 만주지역 소수종족의 태고 신화와 성주신앙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상상력과 현대시 교육 상상력과 현대시 교육 2014 / 지은이: 손예희 / 역락
상상력과 현대시 교육 상상력과 현대시 교육 2014 / 지은이: 손예희 / 역락
우리문학의 탐색과 확산 : 손해일 제4평론집 우리문학의 탐색과 확산 : 손해일 제4평론집 2022 / 지음: 손해일 / 신아출판사
(심리학으로 푸는) 한국현대시  : 심리주의 비평의 새로운 접근  : 손해일 평론집 (심리학으로 푸는) 한국현대시 : 심리주의 비평의 새로운 접근 : 손해일 평론집 2018 / 지음: 손해일 / 시문학사
(신경림의)시인을 찾아서 (신경림의)시인을 찾아서 2002 / 신경림 저 / 우리교욱
(신경림의)시인을 찾아서 (신경림의)시인을 찾아서 2002 / 신경림 저 / 우리교욱
민족시인 신동엽 민족시인 신동엽 1999 / 구중서 ; 강형철 공편 / 소명출판
노래의 상상계  = The imaginary world of songs  : '수사'와 존재상태 기호학 노래의 상상계 = The imaginary world of songs : '수사'와 존재상태 기호학 2011 / 지음: 신범순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조선의 매화시를 읽다 조선의 매화시를 읽다 2015 / 지음: 신익철 / 글항아리
참요, 시대의 징후를 노래하다 참요, 시대의 징후를 노래하다 2012 / 심경호 지음 / 한일미디어
참요, 시대의 징후를 노래하다 참요, 시대의 징후를 노래하다 2012 / 심경호 지음 / 한일미디어
아직 오지 않은 시 : 포스트휴먼 시대 시의 미래 = Poetry yet to come : the future of poetry in the posthuman era 아직 오지 않은 시 : 포스트휴먼 시대 시의 미래 = Poetry yet to come : the future of poetry in the posthuman era 2022 / 지음: 공현진 ...[등] / 소명출판
저녁과 아침 사이 詩가 있었다 저녁과 아침 사이 詩가 있었다 2005 / 엄경희 지음 / 새움
시적 정의와 시의 윤리 시적 정의와 시의 윤리 2020 / 지음: 여태천 /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시가작품론 2019 / 지은이: 염은열, 류수열, 최홍원 / 사회평론아카데미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한시에 마음을 베이다 : 시대를 넘은 공감, 기쁨과 정화의 향연 한시에 마음을 베이다 : 시대를 넘은 공감, 기쁨과 정화의 향연 2015 / 지음: 김재욱 / 왕의서재
시는 노래처럼 : 노래로 부르는 시, 시로 읽는 노래 시는 노래처럼 : 노래로 부르는 시, 시로 읽는 노래 2017 / 지음: 소래섭 / 프로네시스
한시 러브레터 한시 러브레터 2015 / 강혜선 지음 / 북멘토
시 읽는 법: 시와 처음 벗하려는 당신에게 시 읽는 법: 시와 처음 벗하려는 당신에게 2019 / 지음: 김이경 / 유유
우리 한시(漢詩) 삼백수. 1, 5언절구 편 우리 한시(漢詩) 삼백수. 1, 5언절구 편 2014 / 지음: 정민 / 김영사
한계령을 위한 연가 : [점자혼합도서] 한계령을 위한 연가 : [점자혼합도서] 2017 / 시: 문정희 ; 그림: 주리 / 바우솔
꽃, 마주치다 : 옛시와 옛그림, 그리고 꽃 꽃, 마주치다 : 옛시와 옛그림, 그리고 꽃 2013 / 기태완 지음 / 푸른지식
무소유보다 더 찬란한 극빈 : 김영승 시집 무소유보다 더 찬란한 극빈 : 김영승 시집 2001 / 김영승 지음 / 나남
일침 일침 2012 / 정민 지음 / 김영사
다행히도 재주 없어 나만 홀로 한가롭다 : 안대회가 선택한 152편의 한시 다행히도 재주 없어 나만 홀로 한가롭다 : 안대회가 선택한 152편의 한시 2019 / 지음: 안대회 / 산처럼
무소유보다 더 찬란한 극빈 : 김영승 시집 무소유보다 더 찬란한 극빈 : 김영승 시집 2002 / 지음: 김영승 / 나남출판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3 2005 / 조희웅 ; 조흥욱 ; 조재현 공저 / 월인
백석의 맛 : 시에 담긴 음식, 음식에 담긴 마음 백석의 맛 : 시에 담긴 음식, 음식에 담긴 마음 2010 / 소래섭 지음 / 프로네시스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2015 / 지음: 장유승, 박동욱 / 샘터사
강화도  : 송영욱의 視線 강화도 : 송영욱의 視線 2009 / 송영욱 글·사진 / 한국문화사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