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기획과 준비
교육과정
연구와 집필
감사의 말
첨부 자료 ①
첨부 자료 ②
첨부 자료 ③
첨부 자료 ④
제1부_ 서울시 자치구 시민정치 지표 분석
제1장_ 서울시 25개 자치구 시민정치 지표 분석
Ⅰ. 들어가면서
Ⅱ. 시민정치 제1유형: 대의제 정치
보론: 대의제 정치의 발전 가능성으로서 주민발의
Ⅲ. 시민정치 제2유형: 민관 협치
Ⅳ. 시민정치 제3유형: 사회적경제
Ⅴ. 시민정치 제4유형: 사회적 자본
보론: 자치구별 홈페이지 분석
제2부_ 서울시 자치구 시민정치 사례 분석
제2장_ 누군가 관악구의 시민정치를 묻거든 고개 들어 세 가지를 보게 하라
Ⅰ. 관악구와 관악구의 시민정치
Ⅱ. 분석틀과 접근 방향
Ⅲ. 도서관으로 거점치기
Ⅳ. 마을공동체에서 다양한 목표 만들기
Ⅴ. 의정모니터링으로 공동 목표 다시 만들기
Ⅵ. 나가며
제3장_ 엄마, 구로를 부탁해
Ⅰ. 구로공단에서 구로디지털단지까지: 구로 시민정치의 역사
Ⅱ. 구로 시민정치를 이끄는 주부들의 눈과 손
Ⅲ. 활짝 꽃핀 시민정치를 향해
제4장_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향한 노원의 도약
Ⅰ. 서론
Ⅱ. 행위자별 분석
Ⅲ. 공동체 복원 거버넌스에 대한 평가
Ⅳ. 지역공동체 복원 활동과 시민정치: 그 의의와 가능성
제5장_ 함께 Green 도봉구
Ⅰ. 들어가며
Ⅱ. 분석틀
Ⅲ. 사례 1: 초안산 생태공원, 시민운동과 거버넌스
Ⅳ. 사례 2: 방학우성2차아파트의 에너지 자립 활동
Ⅴ. 사례 3: 도봉시민햇빛발전사회적협동조합
Ⅵ. 결론 및 제언
제6장_ 동작(銅雀)의 새로운 동작(動作)
Ⅰ. 들어가며: 동작의 새로운 동작
Ⅱ. 동작의 우여곡절: 동작구 시민정치사 개괄
Ⅲ. 동작의 각양각색: 동작구의 주요 시민단체 활동 현황
Ⅳ. 동작 Zoom-in: 활동 내용 분석
Ⅴ. 동작 거버넌스: 동작구의 거버넌스 현황과 시민단체와 구청이 지향하는 거버넌스의 모습
Ⅵ. 나오며: 동작구 시민정치의 현주소
제7장_ 혼자 왔니? 같이 가자, 마포
Ⅰ. 마포구 시민사회 참여 관찰
Ⅱ. 참여 관찰 내용의 시민사회적 함의 분석: 사회적 자본과 공익, 협력적 거버넌스
Ⅲ. 결론
제8장_ 생동하는 성동, 변화의 움직임
Ⅰ. 성동구의 지난 50년
Ⅱ. 모두가 성수동에 뿌리내린 것은 아니다: 보부상회
Ⅲ. 지역 경제에 근거한 협동조합 1: ‘구두와 장인’ 그리고 성수동, 성동제화협회
Ⅳ. 지역 경제에 근거한 협동조합 2: ‘고기익는 마을’ 마장동, 마장축산물시장상점가 진흥사업형동조합
Ⅴ. 환경단체 그린트러스트, 함께 만드는 ‘녹색’
Ⅵ. 성수도 소셜벤처밸리: 모험의 시작, 시민정치로 이어지다
Ⅶ. 관의 역할: 더 높이, 더 길게, 더 많이
Ⅷ. 맺음말: 성동구의 시민정치, 왜 특별한가?
제9장_ 성북의 마을에는 민주주의가 있다
Ⅰ. 들어가며: “구청장의 의지가 가장 컸죠”
Ⅱ. 마음이 모여 마을이 된 성북구: 성북구의 시민정치 모델
Ⅲ. 마음을 모으려면?: 마을민주주의 사업에 대한 고민들
Ⅳ. ‘참 어려운’ 마을민주주의의 정착을 기다리며
제10장_ 축제, 너와 나의 연결고리, 이건 은평 안의 소리
Ⅰ. 들어가며
Ⅱ. 은평은 축제가 필요해
Ⅲ. 축제, 나비효과를 일으키다
Ⅳ. 은평 시민사회, 축제 밖으로 뚜벅뚜벅
Ⅴ. 축제로 연결되는 ‘사람 사는 은평’
제11장_ 살아나는 상권, 사라지는 주민-종로구 서촌의 고민
Ⅰ. 들어가며
Ⅱ. 성공 사례: 품애와 통인커뮤니티
Ⅲ. 서촌의 변화, 젠트리피케이션
Ⅳ. 다시 시민정치에 답을 묻다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