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북한 청년층과 세대 문제: 쟁점과 본 연구의 설계 / 김성경 Ⅰ. 들어가며 Ⅱ. 청년과 세대 1. 세대 개념의 불명확성 2. 세대 연구의 방법론적 전략 3. 세대로서 북한 청년 연구를 위한 전략 Ⅲ.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 북한 청년 세대 형성의 사회-역사적 배경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내용 4. 연구 방법
제2장 북한 청년층과 정치적 세대 구성 문제 / 최봉대 Ⅰ. 청년층과 정치적 세대 구성 문제 1. 세대와 코호트의 관계 2. 정치적 정체성의 구성요소들 Ⅱ. ‘정치적 자기범주화’와 정치의식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유동서와 다중성 2. 중장년층의 비교: 정치의식의 ‘불균형적 분화’의 유사성 Ⅲ. 정치적 실천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이중적 구성 경향 2. 중장년층의 비교: 탈국가적 개인중심성의 상대적 우세 Ⅳ. 정치적 아비투스 문제 1. 청년층의 정치적 정체성: 과도기적 특성 2. 중장년층의 비교: 체화된 규율 효과의 유사성 Ⅴ. 맺음말
제3장 시자장화 속의 북한 새 세대의 지향과 전망 / 노귀남 Ⅰ. 머리말 Ⅱ. 조직생활문화와 시장화문화의 경계 1. 기성세대의 시장적 문화충격 2. 배급과 대가(代價) 사이 Ⅲ. 시장에서 새 세대의 지향 1. 시장과 새 세대의 성장 2. 새 세대의 감각 3. 새 세대의 시장적 욕망 Ⅳ. 맺음말
제4장 북한 ‘사이(in-between)세대’의 혼종적 정체성 / 김성경 Ⅰ. 들어가며 Ⅱ. 북한의 청년, ‘새 세대’ Ⅲ. 혁명 4세대와 세대적 ‘마음’ 1. ‘생존’으로 구축된 세대적 마음 2. 임수경이라는 문화적 충격 Ⅳ. ‘사이(in-between)세대’의 ‘마음’ 1. ‘사이(in-between)세대’의 양자적 위치와 삶의 전략 2. ‘사이(in-between)세대’의 문화적 실천과 의미 Ⅴ. 맺음말
제5장 북한 새 세대의 젠더 정체성과 실천 / 오유석 Ⅰ. 문제제기: 시장화와 젠더의 재구성 Ⅱ. 사랑, 결혼 그리고 출산 Ⅲ. 성별분업의식: 가사노동, 자녀양육, 생계부양 Ⅳ. 성(sex), 섹슈얼리티(sexuality)의 변화: 성지식, 성경험, 성매매 Ⅴ. 여성의 지위변화 Ⅵ. 맺음말
서가브라우징
호텔리어의 오월 노래 : 광주관광호텔에서 본 5│ 18 2020 / 홍성표 지음 / 빨간소금
반전의 시대 = The great reversal : 세계사의 전환과 중화세계의 귀환2016 / 이병한 지음 / 서해문집
사람과 사람 : 김정은 시대 '북조선 인민'을 만나다.2015 / 강동완 ; 박정란 지음 / 너나드리
김군을 찾아서2020 / 지음: 강상우 / 후마니타스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2019 / 지음: 강원택 / 21세기북스:
영화 속 통일인문학 : 대중문화로 본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 2018 / 지음: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 씽크스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