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전관리자를 위한 인간공학 : 안전하고 생산성 높은 직장 만들기
발행연도 - 2015 / 지음: 나가마치 미츠오 ; 옮김: 박민용, 박인용 / 인재No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57289
-
ISBN
9788955967319
-
형태
25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공학, 공업일반, 토목공학, 환경공학
>
-
카테고리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비평
책소개
안전 한국 시리즈 6권. 산업 재해와 사람의 실수는 직장, 작업자, 관리라는 3대 요인들이 부적합해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3대 요인들의 적합성을 높이고, 직장의 위험 요인을 제거하고 사고 요인에 대한 작업자의 감수성을 높이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안전 관리에 관한 기본적인 사고방식
1. 안전 관리란 무엇인가
2. 산업 재해가 사라진다
3. 바람직한 안전 관리가 흑자 기업을 만든다
4, 안전 관리의 기본은 의식 변혁이다
제2장. 산업 재해의 3대 요인
1. 몇 가지 사고 사례
(1) 커터칼에 의한 사고
(2)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고
(3) 플랜지 교체 시의 가스 누출 사고
(4) 개구부에 끼이는 사고
2. 사고 발생의3대 요인
(1) 기계 설비ㆍ환경 요인
(2) 인적 요인
(3) 관리 요인
3. 3대 사고 요인으로 본 사고 방지 대책
(1)기계 설비ㆍ환경의 위험 요인 대책
(2) 인적 요인의 대책
(3) 관리 강화
제3장. 인적 실수
1. 인적 실수란 무엇인가
(1) 석유화학 공장 폭발 사고
(2) 산업용 로봇과 관련된 사고
(3) 점보기 충돌 사고
(4) 최신 항공기의 부조화
2. 인적 실수의 단계 이론
3. 단계 이론 검증
(1) 무사고 운전사와 사고 다발 운전사 비교
(2) 흥분할 때의 생리 및 심리
4. 인적 실수 방지 대책
(1) 상황과 관련된 PSF 해결
(2) 인적 요인과 관련된 PSF 해결
(3) 관리와 관련된 PSF 해결
제4장. 인간의 생리 및 심리
1. 주의와 부주의
(1) 주의와 부주의의 리듬
(2) 주의와 관심
(3) 주의의 강약과 범위
(4) 강한 주의 후의 이완
(5) 멍청한 사고
2. 눈의 기능
(1) 눈의 구조와 시력
(2) 원뿔 세포와 간상 세포
(3) 시력 분포
(4) 수정체의 작용
3. 대뇌 기능의 리듬
4. 대뇌의 기능
(1) 신피질과 구피질
(2) 뇌간 망양체 부활계
5. 인지와 정보 처리
(1) 인간의 정보 처리 능력
(2) 정보의 그룹화
6. 착오
7. 생략 행위와 억측 판단
(1) 생략 행위
(2) 억측 판단
8. 파퓰레이션 스테레오타입
(1) 스위치류의 디자인
(2) 연동 제어 조작
9. 고령화와 안전
(1) 세계 제일의 고령 국가
(2) 나이를 먹는 것
(3) 가령과 안전
제5장. 교통사고의 심리 및 생리와 방지 대책
1. 운전과 시각
2. 밤의 증발 현상
3. 추돌 사고와 그 방지
4. 졸음운전 사고
5. 음주운전 사고
6. 고령화와 자동운전
제6장. 무재해를 실현하는 안전 교육
1. 구피질과 신피질
(1) 재해 발생과 관련된 3대 요인
(2) 구피질의 작용
2. 안전의 3층 이론
(1) 지혜 레벨
(2) 가치관 레벨
(3) 감정 지배 레벨
3. NKY 트레이닝 진행법
4. NKY는 왜 효과가 있을까?
5. NKY 활동
(1) 트레이닝
(2) 효과적인 NKY 활동 횟수
(3) 그림 만드는 법
(4) NKY 활동 추적
(5) 짧은 NKY
(6) 구피질로 보는 직장 순찰
제7장. 안전 소집단 활동 진행
1. 안전 소집단 활동이란 무엇인가
(1) 직장 단위의 그룹 편성
(2) 리더 선출
(3) 주제 선정
(4) 안전 목표 설정
2. 안전 소집단 활동은 왜 효과가 있을까?
3. 리더의 역할
(1) 정기적으로 미팅을 갖는다
(2) 바람직한 대화
4. 관리ㆍ감독자 역할
(1) 안전 활동의 방향 설정
(2) 활동 지원
(3) 활동 후속 작업
제8장. 안전 관리 진행
1. 안전 관리는 경영 태도
2. 안전 관리의 원칙
3. 안전 관리는 관리 능력
4. 직원의 안전 감수성을 높인다
5. NKY 활동 도입
6. 참가형 인간공학
(1) 프로젝트 팀 결성
(2) 직장 조사
(3) 개선안 실시
(4) 개선 평가
(5) 다른 직장으로의 확대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4 |
20대 | 0 |
30대 | 2 |
40대 | 4 |
50대 | 2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2 |
2017년 | 0 |
2018년 | 3 |
2019년 | 3 |
2020년 | 3 |
2021년 | 2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