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장 평생교육의 의미
1. 평생교육의 개념
2. 평생교육 관련 용어
3. 평생교육의 필요성
제2장 평생교육의 전개
1. 평생교육론의 탄생
2. 평생교육론의 진화 과정
3. 평생교육론의 전면적 등장: 유네스코의 역할
4. OECD와 신자유주의 평생학습의 등장
5. 국제민간성인교육기구의 역할
6. 평생학습: 기회인가 위기인가
제3장 평생교육과 성인학습
1. 성인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2. 성인학습 환경
3. 성인학습 참여 동기와 장애 요인
4. 성인학습 이론과 모델
제4장 안드라고지와 자기주도적 학습
1. 안드라고지의 개념
2. 안드라고지의 학습에 대한 기본 가정
3. 자기주도적 학습
제5장 경험학습과 전환학습
1. 경험학습의 의미
2. 경험학습의 과정: 경험학습 모형
3. 경험학습과 성찰: 전문가 교육론
4. 전환학습의 의미
5. 전환학습의 주요 개념
제6장 평생교육의 대상
1. 여성
2. 청소년
3. 노인
4. 장애인
5. 이주민
6. 모든 이를 위한 교육
제7장 다른 나라의 평생교육 제도
1.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발달 배경
2. 주요국의 평생교육정책 동향
3. 미국의 평생교육
4. 영국의 평생교육
5. 호주의 평생교육
6. 스칸디나비아 국가의 평생교육 동향
제8장 평생교육 제도와 평생교육법
1. 평생교육 제도의 유형과 개혁 방향
2. 우리나라의 평생교육법
3. 학습인증 제도
제9장 평생교육기관
1. 평생교육기관의 개념
2. 평생교육기관 분류
3. 평생교육기관 유형
제10장 사회교육에서의 평생교육체제
1. 사회교육 정책사
2. 「헌법」-「교육기본법」-「평생교육법」
3. 「평생교육법」의 내용과 핵심
4. 「평생교육법」에 의거한 교육사업 및 프로그램
5. 새로운 학습인증 시스템: 평생학습 결과 인정
제11장 사회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1. 사회교육의 유산과 평생교육의 출발
2.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의 차별성
3. ‘영역’에서 ‘관점’으로
4. 다시 판을 짜기
5. 평생학습을 향한 사회교육 영역의 재의미화
제12장 평생교육을 위한 교육의 본질 재인식
1. 평생교육: 학교교육의 고정관념을 넘어서
2. 평생학습과 교육의 조건
3. 교육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공진화
4. 직업능력개발 및 인적자원개발과의 차별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