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회’하는 단어를 처음 들었을 때 우리가 가장 쉽게 떠올리는 단어는 바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일 것이다. 이 책의 제목 <공간적 전회>는 이런 코페르니쿠스의 이미지와도 부합하기 때문에 공간‘의’ 전회가 아니라 공간‘적’ 전회라고 번역된 듯하다.
목차
서문: 우리는 공간에서 무엇을 읽는가? 공간적 전회와 지리학자들의 내밀한 지식 / 외르크 되링, 트리스탄 틸만
제1부: 문화학과 사회과학의 공간적 전회 1장. 운용 및 상상 매트릭스로 기능하는 지도 한 공간매체의 역사에 관하여 / 외르크 뒤네 2장. 영상학 네 장면으로 보는 공간적 전회 / 줄리아나 브루노 3장. “공간의 관성” 페르낭 브로델과 역사학의 공간 이야기들 / 에릭 필츠 4장. 공간적 전회 그리고 역사학이 세계화에 쏟는 관심 / 마티아스 미델 5장. “공간의 부활” 사회학적 범주로서의 공간의 중요성 / 마르쿠스 슈뢰어 6장. 세계사회의 기능체계를 통한 공간의 통제와 조직 / 루돌프 슈티히베 7장. 네트워크 사회의 지리 의미론 / 닐스 베르버 8장. 사이버네틱 로컬리즘 재배치된 공간 / 만프레트 파슬러 9장. 공간적 전회 - 지형학적 전회 - 위상학적 전회 여러 공간 패러다임의 차이에 관하여 / 슈테판 귄첼
제2부: 공간적 전회와 인문지리학 10장. “시대정신”에서 “공간정신”으로 공간적 전회에 대한 새로운 왜곡들 / 에드워드 W. 소자 11장. 지리학에서 바라본 공간적 전회 / 게르하르트 하르트 12장. 스스로 만들어 낸 놀라움 사회의 자기기술 용어로서의 공간이 맞은 르네상스/ 마르크 레데페닝 13장. 사회의 공간상 체계이론에서 사회적인 것의 공간성에 관하여 / 롤란트 리푸너 14장. 신체, 공간, 매체적 재현 / 베노 베를렌 15장. 공간 / 나이절 스리프트 16장. 시간: 공간 / 마이크 크랭
참고 문헌 인명 색인 개념 색인 필진 소개
서가브라우징
지역사회를 비즈니스하다 : 고령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서2010 / 김창규 글 / 아르케
지역사회를 비즈니스하다 : 고령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서2010 / 김창규 글 / 아르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