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피케티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제1부 피케티는 무엇을 말하고 있나 / 유종일
제1장 1:99 사회를 발견하다
우리는 99%다!
1:99 현상의 발견
진실을 가리는 통계와 진실을 드러내는 통계
노동소득과 자본소득의 구분
자본의 개념과 구성
세계화와 1:99 현상
슈퍼매니저와 최저임금
재산과 상속
소득불평등의 미래
제2장 자본축적과 소득분배의 역사적 동학
역사적 시각의 중요성
또 하나의 발견: U자형 자본/소득 비율
자본주의 제1근본법칙
자본주의 제2근본법칙
자본의 귀환
21세기의 경제성장과 자본의 미래
자본수익률과 자본소득분배율의 역사
자본소득분배율의 미래
자본주의의 중심모순과 부의 양극화
제3장 세습자본주의의 재림과 정책 대응
‘부익부’의 동학 70
r-g의 역사와 예외적인 20세기
세습자본주의의 재림?
글로벌 자본주의의 ‘부익부’ 현상
시장경제와 사회국가의 수호를 위하여
누진소득세 강화의 필요성
글로벌 자본세와 경제민주화
제4장 피케티가 옳다!
불평등과 민주주의
1%를 위한 변명
피케티는 위험한 과격분자인가?
키페티는 반(反)성장론자인가?
재분배정책의 역효과?
피케티의 숫자들은 정확한가?
자본의 귀환에 관한 피케티의 이론은 올바른가?
자본주의의 중심모순에 관한 피케티의 이론은 올바른가?
피케티 이론과 한국 경제
문제는 정치야, 이 바보야!
제2부 피케티와 미국, 프랑스, 유럽연합 - ‘피케티 신드롬’의 배경과 맥락 / 윤석준
제5장 2014년 세계는 왜 피케티에 열광했는가
『21세기 자본』첫 출판 당시, 프랑스 사회의 반응
미국 사회는 왜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에 열광했는가
제6장 피케티와 프랑스, 그리고 유럽연합
피케티와 프랑스 조세제도의 개혁
피케티와 유럽연합, 그리고 유로존
제7장 불평등의 경제학에서 불평등의 정치학으로
불평등의 사회과학
불평등의 정치학 ①: 플루토크라시
불평등의 정치학 ②: 불평등에 대한 관용도
제8장 ‘피케티 신드롬’에 대한 우려와 기대
‘지식 수입상’ 문제에 대한 우려
『21세기 자본』한국어판 번역의 문제
제9장 피케티와 ‘그의 친구들’: 피케티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카망베르치즈를 넣은 인앤아웃 버거
이매뉴얼 사에즈, 미국 버클리 대학 경제학과 교수
에스테르 뒤플로, 미국 MIT 경제학과 교수
카미유 랑데, 줄리아 카제, 가브리엘 주크먼
제3부 피케티 이론에 비추어본 한국의 현실 / 주상영
제10장 피케티 이론을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가
문제는 분배다!
한국은 왜 피케티가 필요한가
피케티 이론의 적용: 제3부 요약
제11장 노동의 몫과 자본의 몫
기능적 분배와 개인별 분배
한국의 노동소득분배율: 한국은행 기준
보정된 노동 소득분배율
제12장 한국 경제의 피케티 비율 I
한국 경제의 대차대조표
자본의 개념과 측정
자본의 구성
한국의 자본/소득 비율
자본주의 제2근본법칙과 중심모순의 이해
제13장 한국 경제의 피케티 비율 II
한국 경제의 α
한국 경제의 r-g
적정한 β의 값은?
한국의 β는 왜 높은가
가계조사로 본 자본 /소득 비율
α와 β의 동반 상승
자본으로 대체되는 노동: 대체탄력성 논쟁
피케티 비율의 평가
제14장 불평등의 축소와 관리
불평등의 측정
소득의 불평등
자산의 불평등
불평등이 초래하는 문제들
불평등과 인적자본
불평등과 경제적 이동성
불평등과 수요
불평등과 장기적 성장
불평등의 관리
제4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한국 경제 - 자수성가형 사회에서 세습자본주의로의 퇴화 / 이진순
제15장 피케티의 자본주의 내재적 불평등화 법칙
쿠즈네츠의 ‘역U자 가설’ 비판
세습자본주의의 경향성
자본주의의 두 가지 근본법칙
세습자본주의로의 복귀
피케티의 처방
피케티의 ‘자본’에 대한 애쓰모글루·로빈슨의 비판
제16장 피케티 이론, 한국 경제에의 적용
한국의 저량경제화와 최상층으로의 소득 집중
자본수익률과 경제성장률의 추이
상위계층오러의 소득 집중도의 추이
피케티 가설의 검증
상속이 지배적인 세습 사회의 도래
제17장 세습사회로의 퇴화를 저지하기 위한 정책 제안
소득세제에 50%의 최고세율 계급 신설
종합부동산세를 부유세로 확대 개편
민주주의의 건강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보공개의 의무화
주
참고문헌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