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현장에서 본 상식적인 북디자인 이야기
Ⅰ. 북디자인
왜 편집자가 북디자인을 알아야 할까?
원고 마케터의 북디자인 사용법
책의 형식=사람의 심리 구조
독자의 심리로 빚은 책의 형식
왜 책은 편지와 닮았을까
심리적인 너무나 심리적인 책의 구조
본문에 담긴 독자의 심리 구조
Ⅱ. 표지 디자인
안 사고는 못 배길 표지의 가치
표지는 ‘유혹’이다
표지는 ‘보디가드’다
표지는 ‘광고판’이다
표지 디자인은 ‘균형’이다
표지는 ‘판매의 최전선’이다
편집자와 디자이너의 차이
표지 대지의 그늘
문안을 보는 디자이너의 생리
보이지 않은 그리드의 힘
로고, 표지의 고환
앞날개와 책등 디자인을 보는 법
약력=정보+홍보
책등, 앞표지의 권한 대행
효과적인 뒤표지와 뒷날개 사용법
뒤태까지도 아름다운 표지
ISBN과 바코드의 존재감
뒷날개=출판사의 광고판
약력이 뒷날개를 점령한 이유
표지의 조형미에 숨겨진 심리
표지가 사랑하는 문안 배치 스타일
시선의 방향과 균형
때로는 기계보다 믿음직한 눈
구조로 본 표지 디자인의 생리
나누면 보이는 표지 디자인의 미모
문안, 모으거나 분산시키거나
독자를 편하게 하는 시선의 길
보고 읽는, 표지의 이중성
표지의 제목 서체와 일러스트
내용을 담은, 인간의 얼굴을 한 서체
인스턴트 서체와 핸드메이드 서체
표지에 날개를 달아주는 편집자
‘변형 덧싸개’, 띠지와 덧싸개 사이
띠지인 듯 띠지 아닌 덧싸개인 듯 덧싸개 아닌
덧싸개, 띠지, 그리고 ‘변형 덧싸개’
‘변형 덧싸개’의 특징과 형식
‘변형 덧싸개’에서 챙겨야 할 것들
표지, 그림에 미치다
표지 그림의 유형, 선택형이거나 맞춤형이거나
도판 저작권, 이것만은 알아두자
감동의 압축파일, 표지 그림
독자의 입장에서 표지 보기
표지의 양지와 음지
앞뒤날개 디자인의 조화
책의 척추 책등
표지가 제공하는 조형적인 서비스
북디자인 읽기- 표지 그림으로 본 김훈의 『남한산성』
Ⅲ. 내지 디자인
1. 권두
약표제면과 표제면이 사는 법
권두는 마음을 준비하는 대기실
적은 정보에서 많은 정보로
주먹을 부르는 표지 디자인 재탕
표지─약표제면─표제면, 이미지 삼국통일
약표제면과 표제면의 심리전
‘잔상 효과’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왜 ‘잘못된 만남’이 생길까?
문안 배치의 명당은 어디일까?
‘관계’에서 결정되는 편집 디자인
‘머리말’ 디자인 노하우
‘차례’에서 이미지를 처리하는 법
숲을 보고 나무를 보는 눈
북디자인 읽기- 지면의 양지와 음지
2. 본문
속표제면이 오른쪽에 있는 까닭
속표제면을 두는 이유
속표제면의 두 얼굴
속표제면은 본문 ‘속’의 표제면
지면 생태계로 본 쪽표제와 발문
쪽표제가 살아야 본문 편집이 산다
쪽표제는 본문 속의 작은 거인이다
마케팅 전략으로서의 ‘발문’
디자인을 살리는 여백의 미
여백은 ‘지면의 그린벨트’다
텍스트는 본문 디자인의 재료다
도판, 편집 디자인의 첫걸음
3밀리미터에 달린 도판의 운명
책을 살리는 도판의 설명과 품질
편집자는 도판의 건강주치의
도판을 다룰 때 챙겨야 할 것들
내용과 도판의 아름다운 동행
도판의 질은 책의 질이다
도판 중심으로 보기와 텍스트 중심으로 보기
지면을 숙성시키는 도판의 저력
2차원의 평면에서 3차원의 공간으로
독자의 시각적인 체험을 디자인하는 도판
텍스트와 맞장 뜨는 도판들
혈연관계로 꾸린 ‘한 지붕 세 가족’
점묘법 같은 ‘한 지붕 두 가족’
컨버전스 시대의 편집 전략
북디자인 읽기- 옛 그림으로 배우는 북디자인
3. 권말
디자이너처럼 생각하기
편집자도 디자인에 밝아야
디자이너의 입장에 서보기
디자인 안목을 키우는 빼기감상법
간기면이 디자인하는 책의 이미지
전체를 보는 눈
숲을 못 보는 편집자
표지와 본문의 숲과 나무 보기
미묘한 차이에 눈뜨자
맺는말- 책은 사람이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