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촌락지리학의 소개 제1장│촌락을 정의하기 촌락을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 기술적 정의 사회·문화적 정의 로컬리티로서의 촌락성 사회적 재현으로서의 촌락 잉글랜드의 두 마을의 촌락성에 대해 생각해 보기: 사례연구 요약 제2장│촌락을 이해하기 서론 지리학적 전통 사회학적 전통 인류학적 전통 정치·경제학적 접근 요약
제2부 촌락의 재구조화 과정 제3장│세계화, 근대성 그리고 촌락 세계 서론 근대성, 과학 기술과 사회 변화 세계화와 촌락 요약 제4장│농업 변화 서론 캘리포니아: 자본주의 농업의 실험실 정부의 농업 개입 생산주의 농업 농장 위기 후기생산주의 전이 농업의 미래? 요약 제5장│촌락 경제의 변화 서론 임업, 어업, 광업: 1차 산업의 변동성 제조업 촌락 지역의 서비스 부문 촌락에서의 재택근무 요약 제6장│사회 및 인구 변화 서론 도시화에서도 역도시화까지 역도시화의 배경 요인 역도시화의 재평가 촌락 지역에서 나타나는 계층의 재구성 요약 제7장│공동체의 변화 : 촌락 서비스의 재구조화 서론 공동체의 개념화 촌락 서비스의 소멸 서비스 및 대중 교통에 대한 접근성 고립성 극복하기: 통신 판매에서 인터넷까지 요약 제8장│환경 변화와 촌락 지역 서론 촌락성과 자연 농업과 촌락 환경 도시화와 촌락의 물리적 개발 기후변화 요약
제3부 촌락 재구조화에 대한 반응 제9장│촌락정책과 재구조화에 대한 대응양상 서론 촌락정책의 수수께끼 정책결정 과정 촌락정책을 위한 과제 제10장│촌락 개발과 촌락 재생 서론 국가 개입과 하향식 개발 상향식 촌락 재생 소도시 재생 촌락 개발의 한계? 요약 제11장│촌락 거버넌스 서론 온정주의에서 거버넌스 촌락 거버넌스의 성격 촌락 거버넌스에 의해 대두된 이슈 요약 제12장│촌락을 판매하기 서론 촌락의 상품화 관광 매력물로서의 촌락 상품 촌락 문화유산의 상품화 허구적 촌락 경관 촌락 모험의 체화된 모험 마케팅 장치로서의 촌락 요약 제13장│시골 지역 보호하기 서론 보호 지역 토지이용계획과 개발 통제 농업 환경 계획 동물과 촌락 환경 요약 제14장│촌락 갈등 서론 시골 지역의 경쟁하는 개발 촌락의 자원 갈등 사냥과 촌락식 생활 요약
제4부 촌락의 재구조화에 대한 경험 제15장│변화하는 촌락의 생활방식 서론 뉴질랜드의 농업 재구조화에 대한 농민들의 이야기 잉글랜드 남부에서의 커뮤니티 변화에 대한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 도외시된 촌락지리 젠더와 촌락 요약 제16장│촌락에 거주하기 : 주택, 건강, 범죄 서론 촌락주택 촌락의 건강 상태 범죄와 촌락 커뮤니티 요약 제17장│촌락에서의 성장과 노화 서론 촌락의 유년층 촌락 공동체의 청소년층 촌락의 노년층 요약 제18장│촌락에서의 일 서론 촌락 지역에서의 취업 젠더와 촌락 고용 촌락 경제에서의 이주노동자 통근 요약 제19장│숨겨진 촌락 생활 : 빈곤과 사회적 배제 서론 촌락 빈곤의 증거 촌락 빈곤의 경험 요약 제20장│촌락성, 국가 정체성과 민족집단 서론 촌락성과 국가 정체성 백인의 공간으로서의 촌락에 대한 도전 미국 촌락에서 흑인의 경험 선주민의 촌락성 요약 제21장│대안적인 촌락의 생활방식 뉴에이지주의자와 촌락성 대안적 촌락 공동체 무장 단체의 보수적 촌락성 요약
제5부 결론 제22장│촌락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기 차별화된 촌락 과정, 반응, 경험 촌락성에 대한 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