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01 언제, 누가 예술을 시작했을까?
02 예술의 목적은 무엇인가?
03 예술에서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1. 그리스인들이 찾아낸 신체미
2. 플라톤이 본 ‘아름다움 그 자체’
3. 로마, 중세, 르네상스 시대의 아름다움의 기준
4. 근대: 미 기준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04 아름다움에도 종류가 있다?
1. 순수미
2. 특성미
3. 우아미
4. 숭고미
5. 비장미
6. 골계미
05 모든 예술은 아름다워야 하는가?
1. 추에 대한 전통적 인식
2. 추의 미학의 탄생
3. 현대성과 추의 미학
4. 현대미술과 추
06 예술을 뭐라고 정의해야 할까?
1. 예술은 모방이다?
2. 예술은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3. 예술은 ‘형식’아닌가?
4. 예술은 정의가 불가능하다?
5. 제도가 무엇이 ‘예술’인가를 말해준다?
6. 예술은 도구일 뿐이다?
07 고급예술과 저급한 예술이 따로 있을까?
1. 고급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과 반론들
2. 대중예술 옹호론
3. 현대미술에서 이분법의 해체
08 예술은 천재들만의 놀이인가?
1. 예술천재 담론의 역사
2. 천재 개념의 비판들
09 광기와 예술은 친족관계?
1. ‘광기’해석의 역사
2. 니체 예술철학에서 광기와 예술
3. 광기와 예술적 상상력
4. 고흐, 웨인, 그리고 광기의 화가들
10 아는 만큼 보인다?
1. ‘아는 만큼 보인다’에 대한 반론
2. 전통적인 예술 감상 방법들
3. ‘나’에 의한, ‘나’를 위한 예술 감상
11 예술과 돈은 친구인가, 적인가?
1. 심미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충돌
2. 예술 후원가의 등장
3. 예술과 돈: 루벤스, 워홀, 허스트
4. 뱅크시, 그리고 ‘돈’에 저항하는 예술들
12 예술시장, 어떻게 돌아가는가?
1. 예술과 명제 그리고 미술시장
2. 예술작품의 ‘가격’과 경매
3. 슈퍼 컬렉터: 예술시잔의 큰손들
4. 예술의 물화 비판
13 예술은 사회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1. 예술은 사회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2. 예술을 위한 예술
3. 예술은 사회적이며 동시에 자율적이다?
4. 음악이 사회에 반응하는 양식의 유형들
5. 미술이 사회에 반응하는 유형들
14 예술과 정치는 어떻게 만나는가?
1. 혁명의 열렬한 숭배자인 다비드의 정치예술
2. 바그너의 경우: 반유대주의 예술의 실천
3. 68운동기의 예술과 정치
15 예술이 여성주의의 옷을 입는다면?
1. 페미니즘과 페니미즘 미학
2. 예술작품 속의 여성 이미지
3. 페니미즘 미술의 등장
4. 한국 현대미술에서 페미니즘 작품들
16 예술과 도덕은 대립하는가?
1. 예술과 도덕의 관계
2. 플라톤의 경우
3. 실러의 경우
4. 하이데거의 경우
5. 예술과 도덕의 생산적 관계를 위하여
17 예술과 외설의 경계는 어디인가?
1. 예술의 역사는 곧 외설 논쟁의 역사
2. 외설 논란의 사례들
3. 외설 논란의 쟁점들
4. 예술옹호론(자율결정론)
5. 외설 시비를 넘어서는 예술
18 예술 속의 동성애, 동성애 작가의 예술?
1. 동성애의 역사와 담론에 대한 소묘
2. 예술작품 속의 동성애
3. 동성애 작가
19 예술의 종말, 그리고 그 이후?
1. 예술의 종말이란 표제어
2. 헤겔의 예술의 종말 테제
3. 아도르노의 예술의 종말 테제
4. 단토의 예술의 종말
5. 예술의 종말 그 이후
부록 1 : 더 깊이 읽기를 위한 책들
부록 2 : 예술, 예술가의 삶과 작품을 다룬 영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