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서문
제1장 아시아 패러독스? -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안보갈등 / 정성철
I. 들어가는 글
II. 이론적 논의
III. 경험적 분석
1. 분석대상과 측정방법
2. 동아시아의 경제와 안보
3. 경제협력과 안보갈등의 인과분석
IV. 결론과 전망
제2장 동아시아 지역무역협정(RTA) 체결의 발전과 특징 / 유웅조
I. 서론
II. 동아시아 지역의 제도적 경제협력 발전과정
1. 아시아 금융위기 이전: 냉전과 탈냉전기
2.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III. 동아시아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과 국제비교
1. 동아시아 지역무역협정 체결현황
2. 동아시아 지역무역협정의 국제비교
IV.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과 무역
1. 무역규모
2. 지역별 무역대상 지역 비중
V. 요약 및 결론
제3장 글로벌 셰일혁명과 동아시아 에너지 시장/지정학 변화 / 김연규
I. 동아시아 에너지 현황
II. 유럽의 에너지 현황
III. 미국 셰일혁명 현황과 전망
1. 풍부한 매장량
2. 경제성 확보
3. 셰일가스 기술진보
4. 생산성 향상
IV. 글로벌 에너지 시장과 지정학 변화
V. 동북아 에너지 시장과 지정학 변화
VI. 결론
제4장 환경정책 통일화의 지역성: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 임시정
I. 환경정책 통일화
II. 연구 주제: 환경정책 통일화의 지역성
III. 연구 자료
IV. 환경정책의 유사성
1. 정책 포트폴리오의 유사성
2. 환경정책 도입 순차의 지역성
V. 환경정책 도입 유인의 지역성
VI. 결론: 동아시아의 특수성과 보편성
제5장 동아시아 인권의 보편성과 상대성: 경험적 분석의 기초 / 송영훈
I. 문제제기
II. 인권 상대주의에 대한 경험적 가설: 대외적 이질성과 대내적 동질성
III. 국제인권의 종류와 동아시아적 수용
IV. 정치적 권리, 시민적 자유, 그리고 난민 수용
V. 동아시아 인권과 경험적 분석의 함의
제6장 동아시아 역내문제 해결방식의 특수성 / 조동준
I. 들어가며
II. 지구화와 지역화
1. 19세기 이후 지구화
2. 지역화
3. 지구화/지역화의 도전
III. 동아시아 역내문제 해결방식의 특징
1. 초국경 쟁점의 해결방식: 외교, 패권, 거버넌스
2. 동아시아 역내 힘의 분포
3. 역내문제 해결 기제로써 외교와 국제기구
4. 맹아 상태의 동아시아 지역협력체
IV. 잠정적 결론
자유주제 제7장 글로벌 보건 안보위협과 개도국의 대응 - 남아공의 에이즈 치료정책과 의약품 접근권 논쟁 / 황예은
I. 서론
II. 에이즈와 의약품 접근권 문제
III. 탈아파르트헤이트 에이즈 대응의 배경
IV. 세계경제로의 편입과 에이즈 치료
1. 제약회사 및 미국과의 대결
2. 에이즈 부정론
V. 초국적 에이즈 네트워크의 형성과 한계
VI. 결론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