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저자 서문
일러두기
제1장 서론: 학습에 대한 재고찰
1. 이 주제가 중요한 까닭은 무엇인가
2.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에서 얻은 통찰력
3. 학습과 제도
4. 이 저작의 개요
<후주>
제2장 학습이론에 대한 합리론과 경험론의 유산
1. 서론
2. 로크와 본유관념의 원리
3. 결론
<후주>
제3장 낭만주의의 학습관: 루소의 에밀을 중심으로
1. 서론
2. 루소의 인식론
3. 자연
4. 자존심과 자기애
5. 루소의 발달주의
6. 루소의 학습관에 대한 비판
<후주>
제4장 학습의 규범적 의미
1. 서론
2. 정서, 학습 그리고 반응행동
3. 실수하는 일
4. 정서적 열정을 통한 학습
5. 학습과 사적인 규칙 따르기
<후주>
제5장 학습, 훈련 그리고 행동주의
1. 서론
2. 훈련과 조건화
3. 훈련에서 벗어나기
4. 인간 훈련의 복잡함
5. 훈련과 초등교육
6. 훈련과 자율성
7. 학습곡선
8. 결론
<후주>
제6장 표상과 학습
1. 서론
2. 표상주의
3. 사고언어 가설과 표상주의
4. 결론
<후주>
제7장 발달
1. 서론
2. 발달과 학습 제약
3. 피아제의 발달이론: 사례 연구
4. 결론: 일반화에 대한 열망에 저항해야 한다
<후주>
제8장 언어학습
1. 서론
2. 인지주의의 설명
<후주>
제9장 학습과 개념 형성
1. 서론: 질문의 중요성
2. 추상주의
3. 연합주의
4. 본유주의: 개념 형성에 대한 데카르트적 설명
5. 캐루터스의 수정된 경험론
6. 개념 형성에 대한 다른 관점
7. 결론
<후주>
제10장 기억과 학습
1. 기억의 여러 측면
2. 기억이론
3. 기억과 학습: 현대적 패러다임
4. 현대사회에서 기억의 역할에 대한 현대성이 갖는 함의
<후주>
제11장 주의집중, 사고하기 그리고 학습하기
1. 서론
2. 사고하기와 주의집중
3. 주의집중의 중요성
4. 주의집중에 대한 데카르트의 설명
5. 인지주의와 주의집중
6. 행동주의와 주의집중
7. 주의집중과 학습하기
<후주>
제12장 후기학습
1. 서론
2. 추론의 다양성에 대한 툴민의 설명
3. 영역 의존적 추론에 대한 설명
4. 결론
<후주>
제13장 종교에 관한 학습
1. 서론
2. 종교와 진리
3. 종교와 교육
4. 결론
<후주>
제14장 도덕적 학습
1. 서론
2. 조건화, 훈련 그리고 수업
3. 도덕적 훈련을 넘어서
4. 도덕 발달론
5. 도덕교육과 인간적 번영
6. 결론
<후주>
제15장 창작학습과 감상학습
1. 예술과 삶의 다른 측면들
2. 창작과 감상
3. 학습과 장르
4. 예술, 미학 그리고 직업교육
5. 예술과 지식
<후주>
제16장 결론: 다섯 가지 주제는 있지만 거대이론은 없다
1. 인간적 다양성의 중요성
2. 학습과 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