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근대국어 경상도의 지역ㆍ사회방언의 발달과 분화
제1장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 발달 과정에서의 개별성과 보편성 -『의성김씨 김성일과 종택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1. 서론
2. 한글편지 묶음의 자료적 성격과 역사 사회언어학적 방법
3. 한글편지 묶음에 반영된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의 개별성
4. 한글편지 묶음에 반영된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의 보편성
5. 결론
참고문헌
제2장 17세기 후기 필사본 『음식디미방』의 언어에 대한 이삭줍기 -근대국어의 의미론과 형태ㆍ통사적 변화를 중심으로
1. 서론
2. 음식조리서 텍스트에서 ‘노외-∽뇌-’(反復, 重)에 수행된 의미변화의 유형
3. 형태ㆍ동사적 특질과 변화의 방향
4.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제2부 음운현상의 통시성과 공시성의 만남
제3장 불규칙 활용의 규칙화와 ‘ㆆ’[?]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음운현상의 본질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음운론 기술을 중심으로
1. 서론
2. ‘ㆆ’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표기법으로의 출현 배경: 金熙祥(1927)의 경우
3. 1920-1930년대 표기법에서 불규칙 활용에 대한 표기의 규칙화 방안
4. 1940년대 후반 북한 <조선어 신철자법>의 형태주의
5. 1970년대 이후 국어 음운론에서 (기저)음소 ‘ㆆ’/?/의 재인식과 본질
6. ?에 대한 음운현상의 본질과 용언의 공시적 불규칙성
7.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제4장 국어 방언사에서 성문 마찰음 ‘ㅎ’의 개입과 언어변화의 보상적 기능
1. 서론
2. 유령으로서의 h?
3. 화자들의 의식적인 참여와 언어변화
4. 무조건적인 음성변화의 저지와 보상적 수단
5. ‘ㅎ’ 첨가와 확산 과정: 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경우
6. ‘ㅎ’ 첨가와 용언어간의 재구조화: 19세기 후기 중부방언의 경우
7. 결론: 현대 지역방언에서 재구조화된 ‘ㅎ’ 어간말음의 형성
참고문헌
제3부 역사화용론 시론
제5장 현대국어 시간ㆍ양태부사 ‘드디어’(遂)의 통시적 발달 과정
1. 서론
2. ‘드디어’(遂)와 부사형성의 통시성과 공시성
3. 구상 동사의 활용형 ‘드듸여’(踏)의 제1단계 발달: 의미의 은유화
4. 동사의 활용형 ‘드듸여’(躡)의 제2단계 발달: 부사화 과정
5. ‘드의여’의 문법화 입력 조건과 공시적 유의어
6. 동사어간 ‘드듸-’(踏))와 부사 ‘드듸여’(遂))의 형태 분화와 그 원리
7.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제4부 형태에서 기능으로
제6장 시간과 공간 표시 명사의 역사적 어휘화 과정과 처소격 조사와의 상관성 -‘올해’(今年)의 형성을 중심으로
1. 서론
2. 재분석과 어휘화의 해석
3. 중세와 근대국어에서 ‘올해’(今年)의 재분석을 거친 어휘화 과정
4. 현대국어 ‘올해’(今年)의 재해석과 지역 방언형의 통시적 변화 방향
5. 언어변화의 진행과 처소격 조사의 역할
6.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지역방언 문헌자료에 반영된 언어 현상의 역사성 -중세국어의 부사형어미 ‘-긔, -지>-게’의 반사체를 중심으로
1. 서론
2. 방언 자료 분포의 시대적 불균형과 단편적인 성격: 여격조사 ‘-손디’의 경우
3. 중세국어 부사형어미 ‘-긔/게’에 대한 방언의 반사체와 그 변화
4. 중세국어의 보수적 부사형어미 ‘-긔’의 지속성
5. 결론과 논의
참고문헌
제8장 음운현상의 적용 영역과 음운규칙의 기능 -중세국어 관형격 조사의 음운론과 형태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관형격 조사의 이형태 ‘-ㅣ’의 생성과 표면적 특이성
3. 중세국어에서 모음 연결 규칙과 형태론적 범주
4. 체언과 용언에서의 음운규칙의 기능
5. 결론과 논의: 음운변화/음운규칙의 기능론적 설명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