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정치연구총서 10권. 현재 한국 지방자치의 현실을 제도의 관점에서 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민주주의에서 너무나 뻔하면서도 당연하지만 그래서 중요한 것이 풀뿌리 민주주의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지방자치를 보는 새로운 시각 Ⅰ. 한국의 지방자치, 왜 변화가 필요한가 Ⅱ. 한국 지방자치의 특성 1. 도입의 역사와 과정 2. 한국 지방자치의 문제점 Ⅲ. 지방자치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Ⅳ. 무엇을 해야 하나 Ⅴ. 결론
한국인의 시민문화: 참여의 위기와 지방정치 Ⅰ. 들어가며 Ⅱ. 체제에 대한 불신과 정치 효능감 Ⅲ. 참여의 위기와 정당의 위기: 정상적 참여에서 거리의 참여로 Ⅳ. 지방정치를 위한 자산과 장애 Ⅴ. 나가며
중앙정치 중심의 지방선거: 국회의원, 광역의원, 기초의원 먹이사슬 공천 … 경쟁 없는 선거 Ⅰ. 들어가며 Ⅱ. 지방이 중심이 되는 지방선거 실현 Ⅲ. 먹이사슬 공천 해결을 위한 과제 Ⅳ. 결론을 대신하여
충원의 사다리: 지방정치와 중앙정치의 회전문을 어떻게 볼 것인가 Ⅰ. 들어가며 Ⅱ. 지방-중앙을 바라보는 대립되는 시각들 1. 정치인의 전문성 vs 대표성 2. 정치충원론적 시각: 인선(人選) vs 시민적 육성 3. 정당의 역할 Ⅲ. 경험적 관찰 Ⅳ. 결론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책임, 어떻게 물어야 하나? Ⅰ. 들어가며 Ⅱ. 단체장 견제 방안 1. 의회정치/정당정치에 의한 견제 2. 비례대표제 도입 3. 지방자치단체 파산제 도입 Ⅲ. 정부구조 변화를 통한 단체장 견제 Ⅳ. 결론을 대신하여 지방의회와 주민 참여: 현황과 개선 방안 Ⅰ. 들어가며 Ⅱ. 무엇이 문제인가? Ⅲ. 어떻게 할 것인가? Ⅳ. 나가며
주민대표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방의회 구성의 다양화 Ⅰ. 들어가면서 Ⅱ. 지방의원의 구성 실태와 문제점 Ⅲ. 지방의회의 대표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Ⅳ. 나가면서
교육감 직선제: 민주적 대표성 강화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Ⅱ. 교육감 직선제: 장점과 단점 Ⅲ.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가능한가? Ⅳ. 교육감의 민주적 대표성은 어떻게 강화될 수 있는가? 1. 대안 1: 제한적 직선제 2. 대안 2: 시ㆍ도지사와 교육감 러닝메이트 제도 3. 대안 3: 시ㆍ도지사의 교육감 임명과 지방의회의 검증 4. 대안 4: 주민들에 의한 교육감 선출방식 결정 Ⅴ. 나가며
거버넌스의 다양화를 통한 지방자치의 활성화 Ⅰ. 들어가며 Ⅱ. 현행 지방자치제도의 실태와 문제점 Ⅲ. 각국 지방정부 거버넌스의 유형 및 특징 1. 미국 2. 영국 3. 독일 4. 프랑스 Ⅳ. 지방 거버넌스의 다양화 방안 1. 기관구성형태의 자율적 선택 2. 자치단체 선거방식의 자율화 3. 구역 자치제도 도입의 검토 Ⅴ. 나가면서
주민 참여 자치: 제도적 분권, 시민참여 그리고 대안 Ⅰ. 들어가는 말 Ⅱ. 주민 자치를 위한 제도적 분권, 그리고 시민 참여 1. 제도적 지방 분권 2. 시민의 정치적 참여 Ⅲ. 주민자치 성공 사례 1. 공동체 주민자치 2. 주민참여예산제 3. 주민자치센터 Ⅳ.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주민자치를 위한 대안 Ⅴ. 나오는 말